신 회장 “지금이 변화의 마지막 기회” 강조
신유열 부사장, CES서 복귀 후 VCM 참석
[시사저널e=한다원 기자] 신동빈 롯데 회장이 ‘2025년 상반기 VCM(Value Creation Meeting)’에서 현재 그룹이 놓인 어려움을 타파하고 대혁신의 전환점으로 삼을 수 있도록 고강도 쇄신을 주문했다.
9일 롯데그룹은 롯데월드타워에서 상반기 VCM을 개최했다. 시종일관 엄중한 분위기 속에 진행된 VCM에서 신 회장은 “지난해는 그룹 역사상 가장 힘들었던 한 해”라면서 “빠른 시간 내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유형자산 매각, 자산 재평가 등 다양한 방안을 시행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선 사업의 본원적 경쟁력 강화로 수익성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신 회장은 “위기가 일상이 된 지금, 우리가 당면한 어려움의 근본 원인은 외부환경이 아닌 우리 핵심사업의 경쟁력 저하”라면서 “지금 쇄신하고 혁신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CEO들에게 과거 그룹의 성장을 이끈 헤리티지가 있는 사업일지라도 새로운 시각에서 사업모델을 재정의하고 사업조정을 시도해달라고 촉구했다.
그룹의 본질적인 쇄신을 위해 CEO들이 반드시 지켜야 할 올해 경영 방침으로 ▲도전적인 목표 수립 ▲사업구조 혁신 ▲글로벌 전략 수립 등을 제시했다.
먼저 신 회장은 관성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사업구조와 업무 방식 혁신을 통해 위기를 극복할 것을 당부했다. 그는 “과거의 연장선에서 매너리즘에 빠져 목표를 수립하는 기존 방식을 바꿔야 한다”면서 “도전적인 목표와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치열하게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국내 경제, 인구 전망을 고려했을 때 향후 그룹의 성장을 위해 해외시장 개척이 가장 중요한 목표”라면서 해외 시장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차별화된 사업 전략을 수립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지금이 변화의 마지막 기회임을 명심하고 이번 위기를 대혁신의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우리 롯데그룹은 역경을 극복하는 DNA가 있어 IMF, 코로나 팬데믹 등 수많은 위기를 모두 돌파해왔다”면서 “대표이사를 포함한 모든 임직원이 함께 노력한다면 어떤 위기도 반드시 이겨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롯데월드타워에는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부사장)이 가장 먼저 모습을 드러냈다. 신 부사장은 오전 10시50분쯤 취재진의 질문에 응하지 않고 빠르게 걸음을 옮겼다. 이후 정오쯤 타마츠카 겐이치 일본 롯데홀딩스 대표와 이창엽 롯데웰푸드 대표, 강병구 롯데글로벌로지스 대표, 남창희 롯데하이마트 대표 등 주요 계열사 대표들이 차례로 들어갔다.
CES 2025에 참석했던 신 부사장은 미국 일정을 마치고 귀국하자마자 VCM에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CES 일정으로 VCM에 참석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다만 부사장 취임 이후 첫 VCM이란 점에서 참석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분석된다. 신동빈 회장은 내부 통로로 VCM에 참석한 것으로 전해진다.
VCM을 앞두고 계열사 대표들은 무거운 표정이었다. 취재진들의 회의 주요 현안 관련 질문에도 걸음을 멈추지 않고 빠르게 건물 안으로 들어갔다. 과거 미소를 지으며 한 두마디씩 취재진 질문에 응답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한편 롯데는 VCM에 앞서 그룹 내 인공지능(AI) 혁신사례를 소개하는 ‘AI 과제 쇼케이스’를 선보였다. AI 과제 쇼케이스에서는 롯데이노베이트, 대홍기획 등 9개 계열사가 참여해 AI 우수 활용 사례들을 소개했다. 롯데이노베이트는 생성형 AI 플랫폼인 아이멤버(Aimember)를 활용한 회의록과 보고서 자동 생성 기능을 시연했다. 대홍기획은 광고 마케팅 플랫폼인 에임스(AIMS)를 실제 업무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선보였다. 롯데건설은 안전 관리에 AI 기술을 적용한 사례,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 소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