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공백 속 비상정부 운영 고심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7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27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노경은 기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8일 공식 외부일정 없이 내부 업무보고를 받는다.

기획재정부는 “(최 권한대행은) 주말 공식 일정은 없다”며 “업무 관련 보고를 받을 예정”이라고 전했다. 국무회의를 비롯해 권한대행의 주 업무를 담당할 조직 자체가 기재부에 없다는 점에서 총리실이 사실상 관련 업무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하루 전인 27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가결되면서 최 권한대행이 대행직을 이어받았다. 정부조직법에 따라 최 부총리는 대통령 권한대행과 국무총리 직무대행, 그리고 원래 자신의 역할인 경제부총리 및 기획재정부 장관이라는 1인 3역을 수행하게 된다.

최 권한대행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탄핵된 이후 서면 대국민담화를 통해 “지금은 국정 혼란을 최소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정부는 국정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재정당국에서 대통령 권행대행직을 수행하는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비상 정부를 운영하는 방안부터 고심할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해 안보 상황을 점검하고 국방·외교·치안 부문을 중심으로 부처별로도 긴급지시를 내렸다. 외교·안보 분야는 국가안보실이나 외교·국방부가 맡는 형태가 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