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은행 주담대 잔액 567조원···은행권, 가계대출 조이기 지속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주요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노경은 기자]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 중심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서울 등 수도권의 주택 거래가 급증하는 추세인 만큼 은행권의 주담대·전세자금대출 문턱도 당분간 계속 높아질 것이라는 데 무게가 실린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29일 기준 주담대(전세자금대출 포함) 잔액은 567조73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7월 말(559조7501억원)보다 7조3234억원 불어난 수치로, 역대 월간 최대 증가 폭이었던 7월(+7조5975억원)보다는 약 2000억원 적다. 다만 지난달 중순 이후 주요 은행들의 조건부 전세자금대출 중단, 주담대 한도·만기 축소 등 강한 대출 억제 조치가 쏟아진 사실을 고려하면 두달 동안 유례없는 급증세가 이어진 셈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또한 이날부터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실행(9월 1일)을 앞두고 30∼31일 대출 막차 수요가 몰렸다면, 8월 전체 5대 은행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은 8조원 안팎으로 7월 기록을 경신했을 수도 있다.

신용대출도 29일 만에 102조6068억원에서 103조4270억원으로 8202억원 늘었다. 주담대 문턱이 높아지자 신용대출까지 최대한 끌어 쓰면서 3개월 만에 반등한 것이다.

이에 따라 8월 전체 가계대출 증가 폭은 8조3234억원(715조7383억원→724조617억원)으로, 2021년 4월(+9조2266억원) 이후 3년 4개월 만에 최대 기록을 세웠다. 가계대출 역시 남은 영업일 이틀(30∼31일) 취급액까지 더해지면 9조원대에 이를 수도 있다.

역대 가계대출 최대 증가폭을 보인 시점인 2021년은 코로나19 사태로 시작된 0%대 기준금리(2020년 5월∼2021년 11월 0.5∼0.75%)를 바탕으로 시중은행의 주담대 금리 하단이 2%대에 불과해 레버리지(차입) 투자가 한창이던 시기다. 결국 3년 전 주택시장 호황기와 견주어봐도 현재 가계대출·주담대 증가 속도는 그때와 비슷하거나 더욱 빠르다는 셈이다.

은행권은 이런 가계대출 급증세가 당장 수개월 안에 급격히 꺾이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고 있다.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7월 서울 지역 주택 매매(신고일 기준)는 1만2783건으로 6월보다 41%나 늘어 2년 11개월 만에 1만건을 넘어섰다.

한은 관계자도 지난달 2분기 가계신용 발표 당시 “주택 매매가 이뤄지면 2∼3개월 시차를 두고 가계대출에 영향을 미친다”며 “이에 따라 3분기 들어 7월에도 가계부채가 2분기 수준으로 늘고 있어 관련 기관과 면밀히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당분간 은행권의 가계대출 조이기 노력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대출자 입장에서 가장 타격이 큰 것은 주택담보대출 만기 축소와 전세자금대출 취급 제한이다. 특히 주담대의 만기가 줄어들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계산식에서 연간 갚아야 하는 원리금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결국 대출 한도가 축소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