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면진료 교수 1000명 중 400명 넘는 인원 참여 의사 밝혀
“휴진 동참 교수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

14일 오후 서울대의대에서 열린 에서 강희경 서울의대 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14일 오후 서울대의대에서 열린 에서 강희경 서울의대 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시사저널e 기자] 서울대 의대 소속 병원 교수 400여명이 오는 17일 전면 휴진에 동참할 예정이다.

서울대 의대·병원 교수 비대위는 15일 오전 보도자료를 내고 “17일 전체 (무기한) 휴진을 앞두고 4개 병원(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휴진 참여 중간 조사 결과, 현재까지 외래 휴진 또는 축소, 정규 수술과 시술 일정 연기 조치를 시행한 교수 숫자는 400명이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이들 병원에서 대면 진료를 하는 교수는 약 1000명 정도로 이 중 40%가량의 교수가 휴진하는 셈이다.

비대위는 추가 조사 결과에 따라 휴진 동참 교수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병원 노동자들이 휴진에 따른 진료 예약 변경 업무를 맡지 않기로 한 가운데 이들 병원 교수는 자체적으로 또는 비대위 차원에서 환자들에게 휴진을 알리고 있다.

현재까지 휴진에 참여한 교수의 절반가량이 비대위에 진료 예약 변경 지원을 요청했고, 요청 건에 대해서는 이날까지 예약 변경과 알림 절차가 완료될 예정이라고 비대위는 설명했다.

다만 기존에 밝힌 대로 응급·중환자와 희귀·난치·중증 질환 치료는 유지한다. 해당 분야의 교수들에게는 휴진 지지 서명을 받고 있다.

비대위에 따르면 의료계에 대한 존중과 올바른 의료정책 수립을 요구하는 해당 성명에는 약 17시간 만에 교수 300명이 동참했다.

비대위는 전공의를 향한 행정처분 취소와 의료 사태 정상화를 위한 합리적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한 정부의 실질적인 조치가 있다면 휴진을 철회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비대위는 “서울대의대·병원 비대위는 전공의를 향한 정부의 행정 처분(면허 정지 등) 취소와 의료 사태 정상화를 위한 합리적 조치를 요구해왔으며, 이 목표를 위한 정부의 실질적인 조치가 있다면 휴진을 철회할 수 있음을 여러 차례 밝혔다”며 “우리는 다시 한 번 정부의 적극적인 조치를 요청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