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어로보틱스, AI 기반 자율주행 서비스로봇 스타트업
LG전자, 단일주주 기준 베어로보틱스 최대지분 보유

LG전자의 LG 클로이 캐리봇 / 사진=LG전자
LG전자의 LG 클로이 캐리봇 / 사진=LG전자

[시사저널e=고명훈 기자] LG전자가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AI 기반 자율주행 서비스로봇 스타트업 베어로보틱스에 6000만달러(약 800억원)를 투자하는 신주인수계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주식매매거래가 종결되면 LG전자는 단일주주 기준 베어로보틱스의 최대지분 보유자가 된다.

LG전자 관계자는 “지분 투자는 단기 수익을 추구하는 재무적 투자가 아니라 사업 포트폴리오 고도화 관점 투자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베어로보틱스는 구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테크 리드로 근무했던 하정우 대표가 2017년 설립한 스타트업으로, AI 기반 자율주행 실내배송로봇을 국내는 물론 미국, 일본 등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공동 창업자인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비롯해 구글 등 빅테크 출신 엔지니어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상업용 로봇 소프트웨어의 플랫폼화, 다수의 로봇을 제어하는 군집제어 기술, 클라우드 기반 관제 솔루션 분야 등에서 역량을 보유했다.

LG전자는 지분투자를 통해 미래 신사업 가운데 하나로 육성 중인 배송, 물류 등 상업용 로봇 사업의 역량 고도화에 속도를 낸단 계획이다. 앞서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 사장은 올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4 기자간담회에서 “LG전자의 상업용 로봇 사업은 주로 배송과 물류 등 서비스 영역에 집중하고 있으며, 지분투자나 인수합병(M&A) 가능성을 열어두고 발전 방향을 주의 깊게 보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LG전자는 상업용 로봇의 패러다임이 AI 기반의 소프트웨어 중심 로봇(SDR)으로 전환될 것으로 내다봤다. 하드웨어 중심이던 모빌리티 트렌드가 소프트웨어로 변화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향후 상업용 로봇 시장이 본격 개화할 경우 개방형 구조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서비스 로봇의 확장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이란 판단이다.

LG전자는 공항, 호텔, 레스토랑, 병원, 매장, 박물관, 스마트 물류창고, 골프장 등 상업 공간에 로봇 솔루션을 제공해왔다. 경북 구미 LG퓨쳐파크는 상업용 로봇 자체 생산시설을 갖췄다. 회사는 베어로보틱스가 보유한 글로벌 연구개발(R&D) 인프라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 역량을 더하면 로봇 플랫폼 표준화를 주도하고 시장진입 비용을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간 LG전자는 인천국제공항 안내로봇 서비스를 시작으로 배송, 방역 등 다양한 상업 공간에 제품을 설치했다. 지난해부터 미국, 일본, 동남아 국가 등으로 해외 시장 공략도 본격화했다. 회사에 따르면 글로벌 서비스 로봇 시장은 지난 2021년 362억 달러(약 48조원 규모)에서 오는 2026년 1033억달러(약 137조원 규모)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앞서 LG전자는 집, 모빌리티, 커머셜, 가상공간 등 공간과 경험을 연결·확장하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미래비전을 발표한 바 있다. 이를 통해 2030년 매출 100조원과 ‘7·7·7(CAGR/영업이익률 7%, 기업가치(EV/EBITDA 멀티플) 7배)’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이삼수 LG전자 최고전략책임자(CSO)는 “이번 지분투자는 서비스 로봇 시장이 본격 성장기에 접어들 전망인 가운데, 사업의 ‘이기는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라며, “중·장기 관점에서는 임바디드 AI나 로봇 매니퓰레이션 고도화 등 차별화 기술 영역과 접목해 다양한 기회를 탐색하며 로봇 사업을 미래 성장엔진으로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