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兆 투자 카드 꺼내든 사우디 119표 얻어 압도적으로 '2030 세계 박람회' 개최지로 선정
한국 이탈리아 제치고 2등에 만족
[시사저널e=엄민우 기자] ‘2030 세계박람회(엑스포)’는 결국 ‘미스터 에브리띵’ 빈살만의 사우디아리비아(사우디) 품으로 가게 됐다. 엑스포 유치를 위해 전방으로 뛰었던 재계는 “일제히 아쉽지만 좋은 기회가 됐다”는 논평을 내며 치열했던 유치전 일정을 마무리 지었다.
28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박람회기구(BIE) 제173차 총회에서 진행된 개최지 선정 투표에서 사우디 리야드는 투표 참여 165개국 중 3분의 2 이상인 119표를 얻어 여유롭게 2030 엑스포 개최지로 선정됐다. 부산은 29표를 얻어 이탈리아 로마(17표)를 제치고 2위를 한 것에 만족해야 했다.
사실상 애초에 10조원 이상 투자를 제시한 사우디의 일방적 승리가 점쳐졌던 상황 속에 반전을 노렸던 우리나라로선 아쉬운 결과였다. 결과가 나온 후 재계는 해당 결과에 아쉬움을 표하면서도 글로벌 인지도를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고 자평했다.
29일 한국경제인협회는 논평을 통해 “국가적 노력과 염원에도 불구하고 2030년 부산 세계박람회(EXPO) 유치가 좌절된 것을 아쉽게 생각한다”며 “비록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만, 준비 과정에서 정부는 물론 경제계, 국민 모두가 원팀이 되어 보여준 노력과 열정은 대한민국이 하나로 뭉치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한다”고 전했다.
이어 “엑스포 유치 노력 과정에서 이뤄진 전 세계 다양한 국가들과의 교류 역시, 향후 한국 경제의 신시장 개척의 교두보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힌상공회의소 역시 “국민들의 단합된 유치 노력은 대한민국의 국가경쟁력을 한단계 끌어올렸을 뿐 아니라, 한국 산업의 글로벌 지평도 확대하는 계기가 됐다고 본다”며 긍정적 측면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각 나라들은 소비재부터 첨단기술, 미래 에너지 솔루션까지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갖춘 한국과 파트너십을 희망했다. 그 과정에서 기업들은 글로벌 인지도 강화, 코로나 기간 중 못했던 신시장 개척, 공급망 다변화, 새로운 사업 기회 확보 등 부수적으로 의미 있는 성과도 얻었다”며 “경제계는 정상들의 긍정적 피드백과 세계인들의 자발적인 아이디어를 계속 발전시켜 한국과 지구촌이 공동 번영하는 모델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 역시 “2030 부산 엑스포 유치는 이뤄지지 않았지만 유치활동으로 경제·문화적으로 발전된 대한민국을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가 됐다”며 “세계 각국의 많은 정상들과 만남을 통해 폭넓은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국가의 위상을 높이는 큰 성과가 있었다”고 정리했다.
이번 2030 부산 엑스포 유치와 관련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4대 그룹 총수들은 세계 각 국을 돌며 홍보 강행군에 나섰다. 특히 최태원 회장은 대한상의 회장으로서 엑스포 민간유치위원장을 맡아 마지막 PT 연사자로 나서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