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임시총회 열어 명칭변경 안건 등 의결···삼성증권 외 4대 그룹 계열사 사실상 모두 합류
“혁신안들 구체화하고 계획대로 실천하는 것이 중요”
[시사저널e=엄민우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으로 이름을 바꾸고 새롭게 돛을 올렸다. 과거 국정농단 사태의 오명을 벗고 과거처럼 재계 대표단체로 거듭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전경련은 22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임시총회를 열어 한경협으로의 명칭 변경, 산하 연구기관이었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 흡수 통합 등의 안건을 의결했다. 해당 명칭은 전경련이 이전에 사용하던 명칭이다.
일단은 한경연이 한경협에 통합되면서 이전에 전경련을 탈퇴했던 4대 그룹(삼성·현대차·SK·LG)도 전경련에 다시 합류한 모양새가 됐다. 4대 그룹은 전경련은 탈퇴했지만 한경연 회원사로 남아있었다.
다만 4대 그룹의 모든 계열사가 다시 한경협으로 합류한 것은 아니었다. 삼성 계열사 중 삼성증권은 한경협에 합류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다만 삼성전자 등 주요 계열사들이 모두 복귀한만큼 삼성 그룹의 전경련 활동엔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증권은 한경협으로의 ‘조건부 재가입’을 권고한 삼성준법감시위원회와 협약을 맺은 계열사가 아니라는 점이 작용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삼성 준감위와 협약을 맺은 삼성 계열사는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생명,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SDS, 삼성화재 등 7곳이다.
4대 그룹 관계자들에 따르면 삼성증권을 제외하면 그룹 모두 한경협에 합류할 것으로 보인다. 한 4대 그룹 관계자는 “계열사 누락없이 모두 탈퇴하지 않기로 했다”며 “그냥 자동적으로 합류하게 된 것이 아니라, 각 사가 논의 끝에 결정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실상 삼성이 전날 가입키로 결정한 것이 주효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4대 그룹 가입은 전경련의 숙원 과제와도 같았다. 사실상 조직의 위상 회복과 직결되는 문제였기 때문이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 당시 4대 그룹이 일괄 사퇴한 후 전경련은 조직 축소, ‘정부 패싱’ 등의 부침을 겪었다.
정권 교체 이후 글로벌 네트워크 능력을 기반으로 다시 한번 경제단체의 한 축으로 살아났지만 ‘4대 그룹이 빠졌다’는 꼬리표가 늘 따라다녔다. 그랬던 전경련에 4대그룹이 합류하게 된 데에는 김병준 회장대행의 구원투수 역할이 주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단 4대 그룹 복귀로 전경련의 위상회복도 더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되지만 여론 등을 감안해 당분간 조심스러운 행보를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 4대 그룹 역시 전경련의 행보에 대해 계속 예의주시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LG 측은 “전경련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정치적 중립 유지를 위한 안전 장치 마련,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위한 노력, 글로벌 싱크탱크로의 역할을 다하기 위한 준비 등을 제안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삼성 준법위 역시 전경련이 정경유착 모습을 보일 시 즉각 탈퇴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전경련 관계자는 “4대 그룹이 합류한 것과 무관하게 그동안 발표했던 혁신안들을 구체화하고 계획대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