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촌치킨, 이태원에 플래그십 스토어 오픈
특화 메뉴 필두로 수제맥주와 막걸리도 선봬
[시사저널e=한다원 기자] “교촌필방은 ‘붓으로 바르는 정성’과 ‘재료의 진정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식문화를 이끌어나갈 교촌의 숨겨진 치맥 공간입니다.”
교촌치킨이 새로운 플래그십 스토어 ‘교촌필방’을 선보였다. 교촌필방은 기존 교촌치킨과 달리 매장 인테리어부터 조리방식, 메뉴 등에서 차별점을 뒀다. 교촌치킨 창업주인 권원강 회장의 경영철학과 포부가 담긴 교촌필방은 ‘정직한 재료’와 ‘새로운 식문화’를 중점을 두고 있다.
7일 교촌치킨은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에 플래그십 스토어 교촌필방을 오픈한다고 밝혔다. 정식 오픈날은 오는 8일이다.
교촌필방은 교촌의 차별화된 조리방식인 붓질을 모티브로 했다. 붓을 만들어 파는 가게인 필방은 시대의 문화예술을 선도하는 창작자들의 구심점이자 예술활동의 바탕이 되는 좋은 재료를 발굴하고 연구하던 공간이다. 필방은 좋은 재료로 만든 소스를 붓질로 도포해 고유한 맛을 완성하는 교촌 제품 철학과 맞닿아있다.
이날 기자는 교촌필방에 방문했다. 매장은 파인다이닝 느낌이 강했다. 교촌필방은 입구부터 일반 점포와 달랐다. 교촌필방의 외부 출입구는 비밀의 문 콘셉트로, 교촌의 핵심인 붓을 당기면 열리도록 구성됐다. 교촌 로고도 작게 제작됐고, 외부에서 한 눈에 ‘교촌’이라는 브랜드를 느끼기 어렵도록 했다.
직영으로만 운영되는 교촌필방은 규모만 120평에 달한다. 교촌필방 곳곳에는 무형문화재 필장이 만든 붓들로 채워졌다. 교촌필방 벽면에도 옻칠 공예 작가가 직접 옻칠로 마감한 한지로 벽을 메웠다.
여기에 교촌의 정성이 깃든 조리방식을 연상하게 하는 거친 붓질 패턴과 소스 재료를 담은 선반 디스플레이로 교촌의 제품 철학을 그대로 표현했다. 이 외에도 교촌필방 미디어월은 교촌 수제맥주 브랜드 문베어브루잉의 맥주병을 재활용했고,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형 테이블을 제작해 크리에이터 라운지 DJ존도 마련했다.
특히 교촌필방은 기존 치킨 브랜드에서 볼 수 없었던 ‘치마카세(특수부위+오마카세)’ 공간도 마련됐다. 1인당 가격은 5만9000원으로, 총 12가지의 맛을 체험할 수 있다.
진상범 교촌에프앤비 특수사업본부장은 “교촌필방은 교촌 안에 새로운 브랜드로, 기존 교촌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고 재미적인 요소를 담도록 했다”며 “교촌의 가치들, 테스트베드 관점으로 고객과 소통을 늘리는 것을 중점적으로 두고 기획했다”고 밝혔다.
교촌필방이 이태원에 자리잡은 배경에는 이태원 입지와 관련 깊다. 교촌필방은 이태원역 4번 출구 인근, 대로변에 위치해 접근성이 높다. 교촌필방은 앞으로 신메뉴 테스트베드로 활용되는 등 새로운 서비스를 도입하는 공간으로 사용한다. 또 이태원은 외국인과 젊은층이 많이 찾는 곳으로 글로벌, MZ세대 소비자의 취향을 파악할 수 있다.
메뉴도 기존 교촌치킨과 달랐다. 교촌필방에는 기존 시그니처 메뉴 4가지(간장·레드·허니·블랙)를 맛볼 수 있는 ‘필방 시그니처’ 플래터(3만9000원)로 구성방식을 새롭게 했다. 또 수제맥주로 마리네이드한 ‘홉’ 향이 첨가된 ‘필방 스페셜 치킨’, 허브와 타바스코로 조화를 이룬 ‘본초치킨’, 닭가슴살과 각종 채소 및 캐슈넛으로 식감을 살린 사천식 닭볶음요리 ‘필방 궁보치킨’, 닭고기와 야채에 와인을 넣어 조리한 프랑스식 고급요리 ‘꼬꼬뱅’ 등 기존 매장에서 볼 수 없는 신메뉴가 대거 포함됐다.
치킨뿐 아니라 교촌필방은 사이드메뉴도 차별점을 뒀다. 교촌필방에서는 ▲필방 고추튀김(1만6000원) ▲꾸븐 떡볶이(1만4000원) ▲필방 샐러드(1만5000원) ▲포테이토&칩스(1만1000원) ▲필방 튀김우동(1만1000원) ▲필방 계란볶음밥(8000원) 등을 만나볼 수 있다.
교촌필방은 주류도 다양하게 구성했다. 교촌필방은 기네스, 하이네켄 등을 포함한 수제맥주와 청귤, 애플망고 하이볼 그리고 탄산음료들을 선보였다. 특히 교촌필방은 지난해 교촌이 염양군에 개소한 100년 양조장에서 생산한 ‘은하수’ 막걸리도 판매한다.
윤진호 교촌에프앤비 대표는 “교촌필방의 모티브가 된 붓질은 한결같은 맛과 품질을 지키기 위한 교촌의 조리 원칙”이라며 “이곳을 통해 교촌 제품 철학과 새로운 식문화 경험을 고객들과 함께 나누고자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