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 후 공동 회견···기시다 총리 “한국의 후쿠시마 오염수 우려 알고 있다”
한일 미래 파트너십 기금은 막바지 준비···반도체 공급망 구축 위한 공조 강화 추진
[시사저널e=이상구 기자]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한국 전문가들의 현장 시찰단 파견에 합의했다.
윤 대통령은 7일 기시다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진 뒤 용산 대통령실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어 “과학에 기반한 객관적 검증이 이뤄져야 한다는 우리 국민 요구를 고려한 의미 있는 조치가 이뤄지기를 바란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기자단 질문을 받고 “기시다 총리가 이웃 국가인 한국 국민 건강과 안전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고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기시다 총리는 한국 측의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APLS 처리수’)에 대한 우려를 알고 있다며 한국 전문가들의 후쿠시마 원전 시찰에 윤 대통령과 합의했다고 밝혔다.
한일 과거사 문제에 대해 윤 대통령은 “진정성을 갖고 하는 것이 중요하지 어느 일방의 상대에게 요구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강제징용 해법에 대한 정부 방침이 바뀔 것이냐’는 질문을 받고 “바뀌지 않는다”라며 “우리가 발표한 해법은 지난 1965년 청구권 협정과 2018년 법원 판결을 동시 충족하는 절충안으로서 법적 완결성을 지닌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답변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회견문 발표를 통해 “전경련과 게이단렌이 설립하기로 합의한 한일 미래 파트너십 기금이 출범을 앞두고 막바지 준비를 하는 상황”이라며 “한일 미래 세대의 교류 확대를 위해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일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한일 양국 인적 교류 규모가 올해 들어 3개월 만에 200만명에 육박할 정도로 회복되고 있다며 “미래 세대 교류가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고 말했다.
한일 미래 파트너십 기금과 별도로 윤 대통령은 “양국 정부 차원에서도 청년을 중심으로 한 미래세대 교류를 확대하기 위해 구체 방안을 협의해나가기로 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한국 반도체 제조업체와 일본의 우수한 소부장 기업들이 함께 견고한 반도체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이 분야에서 공조를 강화하자는데 의견이 일치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양국의 대표적 비우호 조치였던 소위 ‘화이트리스트’ 원상회복을 위한 절차가 착실히 이행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밖에도 윤 대통령은 “정상 간 셔틀 외교가 본격화된 것을 뜻깊게 생각한다”며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한일 양국이 안보 경제 글로벌 어젠다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긴밀히 협력해 나가야 한다는데 뜻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한일관계 개선이 양국 국민에게 큰 이익으로 돌아온다는 점을 확인하고 앞으로도 더 높은 차원으로 양국 관계를 발전시켜 나아가는 데 합의했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3월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외교안보 당국간 안보대화와 국가안전보장회의 간 경제안보대화, 그리고 재무장관 회의 등 안보 경제 분야 협력체가 본격 가동되고 있음을 환영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