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발생 후 10시간 만에 일부 기능 정상화
PC용 등은 오류 지속

15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SK 판교 캠퍼스 A동에서 관계자들이 복구작업 투입을 위해 소방관들과 함께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 사진 = 연합뉴스
15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 SK 판교 캠퍼스 A동에서 관계자들이 복구작업 투입을 위해 소방관들과 함께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 사진 = 연합뉴스

[시사저널e=김용수 기자] 카카오가 모바일 메신저 수·발신 등 일부 기능을 복구했다. 그러나 PC용 로그인 등 일부 기능은 15일 장애 발생 후 16시간이 경과한 16일 오전까지도 불통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화재는 15일 15시19분경 경기도 성남시 SK 판교캠퍼스 A동 지하 3층 전기실에서 발생했고, 15시22분경 서비스 전원이 차단됐다. 현재 SK C&C와 소방당국과 함께 현장에서 배선 점검중이고, 점검 결과 문제가 없을 경우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예정이다.

SK C&C 데이터센터엔 카카오, 네이버를 비롯해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등 SK계열사가 입주해 있다. 이번 화재로 카카오와 네이버에선 장애가 발생했다. 카카오는 SK C&C 데이터센터 화재 발생 이후 오후 3시30분부터 카카오톡, 다음(Daum), 카카오맵, 카카오 계정 등 서비스 접속이 원활하지 않은 현상이 발생했다.

네이버의 경우 서비스 중단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검색·뉴스·쇼핑 등 서비스 일부 기능에 오류가 발생했다. 일부 기능은 복구가 완료된 상황이며, 전면적인 서비스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남궁훈 카카오 신임 대표이사 / 사진 = 카카오
남궁훈 카카오 각자대표 / 사진 = 카카오

남궁훈, 홍은택 카카오 각자대표는 입장문을 통해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톡을 비롯한 다음, 카카오 T, 카카오페이 등 카카오 서비스 장애로 불편을 겪고 계신 모든 이용자분들께 고개 숙여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들은 “화재를 인지한 즉시 다른 데이터센터를 이용해 서비스를 정상화하기 위한 최선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며 “모든 데이터를 국내 여러 데이터센터에 분할 백업하고 있으며, 외부 상황에 따른 장애 대응을 위한 이원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번 화재가 발생한 직후 해당 사실을 인지하고 즉시 이원화 조치 적용을 시작했다”며 “이번과 같이 데이터센터 한 곳 전체가 영향을 받는 것은 이례적인 상황으로, 해당 조치를 적용하는데 예상보다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두 각자대표는 “소방 당국의 신속한 조치로 현재 화재 진압은 완료됐으나, 안전상의 이유로 데이터센터에 즉시 전원을 공급하기 어려워 장애 해결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번 화재의 원인을 명확히 규명하고, 현재 입주해 있는 데이터센터 업체에 사고 원인을 전달해 안전 점검 및 사고 예방 조치를 다시 한번 확인할 예정”이라고도 했다.

또 “아울러 향후 이러한 사건이 발생하더라도, 그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하고 빠르게 서비스를 평소와 같이 이용하실 수 있도록 다양한 기술적 재발 방지책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복구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카카오가 ‘국민 메신저’를 개발한 회사에서 ‘국민 밉상’으로 전락하게 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