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우 두나무 대표이사 금융위 국감 증인 출석
“자전거래 사건 당시 룰 없었어···안타깝게 생각”
“루나 코인, 이해상충 여지 있지만 셀프상장은 아냐”
[시사저널e=김희진 기자]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금융위원회 국정감사 도마 위에 올랐다. 여·야 의원들은 업비트의 자전거래 사건과 루나 코인 관련 셀프상장 의혹을 놓고 집중 공세를 펼쳤다.
이석우 두나무 대표이사는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참석했다.
이날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은 두나무가 지난해 막대한 실적을 올린 것을 언급하며 송치형 두나무 회장이 자전거래를 통해 이익을 챙겼다는 혐의로 검찰에 기소된 것과 관련해 이 대표에게 관련 내용을 질의했다.
앞서 2017년 송 회장은 2017년 ‘ID 8’이라는 계정을 만들고 자전거래를 통해 1491억7700만원 상당의 부당이익을 챙긴 혐의로 2018년 12월 18일 불구속 기소된 바 있다. 1심에서는 증거 불충분과 관련 법이 없다는 점을 이유로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검찰이 항소해 현재까지 2심이 진행 중이다.
윤 의원은 “1심에서 무죄가 나온 것은 맞지만 무죄가 나온 이유가 애매하다”며 “행위가 없었다는 뜻은 아닌 거 같고 처벌할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 대표는 “그건 아닌 걸로 안다”면서 “검찰 측에서 유죄 입증 책임을 사기죄로 고소했기 때문에 입증을 못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전거래 재발 방지 대책을 묻는 윤 의원의 질의에 대해서는 “개장 초기였기 때문에 아무런 룰들이 없었고 지금까지도 그런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나름대로 공정하고 투명하게 투자자 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했다고 생각하지만 객관적 기준이 없었다”며 “룰들이 빨리 정해지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이어 “5년간 두나무 대표이사를 하면서 끊임없이 국회, 정부를 찾아다녔는데 공적인 논의가 그동안 안 됐다는 점에서 굉장히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성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업비트에 대해 셀프 상장 의혹을 제기했다.
김 의원은 김주현 금융위원장을 향해 “2018년 설립된 두나무 파트너스는 설립 후 바로 루나 코인에 투자했고 2년 뒤 루나 코인을 업비트 BTC(비트코인) 마켓에 상장해 1년 뒤 매각하면서 약 1400억원의 차익을 남겼다”며 “이런 건 일종의 셀프상장이며 분명한 이해충돌 문제다. 한국거래소가 자기가 가진 주식을 상장한다는 게 통용이 되는 건가”라고 물었다.
김 위원장은 “일반적인 증권거래시스템에서는 생각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답했다.
이 대표는 루나 코인의 셀프상장 의혹과 관련해 “이해상충 여지가 있다”고 말하면서도 셀프상장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의 “셀프 상장 의혹 중 하나라도 사실로 밝혀진다면 거래소 인가를 취소할 용의가 있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이 대표는 “셀프 상장 의혹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지만 오해가 있는 것 같다”며 “구체적인 증거를 주신다면 저희가 알아보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업비트의 엉터리 공시도 지적했다. 김 의원은 “공시도 엉망이다. 펀드 투자라고 공시했는데 암호화 플랫폼이었고 카카오게임즈의 투자 공시는 이미 공시한 내용을 재탕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제 가상화폐 거래소에 대한 장고를 끝낼 때가 아닌가 싶다”며 “더 이상 선량한 피해자가 나오면 안 된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