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노조, 채권단 변제율 상승 위해 196억원 이자 전액 탕감 요구
이자 탕감 시 실질변제율 현재 41%에서 45% 수준으로 높아질 전망
26일 관계인집회 개최 예정···동의 얻으면 법원으로부터 최종 인가

[시사저널e=유주엽 기자] 최근 KG컨소시엄의 현금투입으로 인수합병(M&A)에 한 걸음 더 다가간 쌍용자동차가 마무리 단계인 관계인집회를 앞두고 산업은행에 협조를 요청했다.

17일 쌍용차 노동조합은 여의도 산업은행 사옥 앞에서 KG컨소시엄과의 성공적인 인수합병을 위해 이자탕감 등의 지원을 촉구하며 요구안을 전달했다.

쌍용자동차 노조가 17일 여의도 산업은행 본사 앞에서 기업회생과 관련해 이자탕감 등의 요구안을 밝혔다. / 사진=유주엽 기자
쌍용자동차 노조가 17일 여의도 산업은행 본사 앞에서 기업회생과 관련해 이자탕감 등의 요구안을 밝혔다. / 사진=유주엽 기자

이날 요구안 전달에 앞서 쌍용차 노조 측은 산은에 ▲중소협력업체의 변제율을 상승을 위한 196억원 이자 전액 탕감 ▲국내자동차 산업의 장기적 경쟁력 확보를 위한 원금 1900억원에 대한 출자전환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에 대한 지원대책 등을 요구했다.

박경배 쌍용차 상거래 채권단 대표는 “산업은행은 원금은 물론이고 높은 이자와 연체이자까지 모든 것을 회수함으로써 중소기업으로 구성된 상거래 채권단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협력업체가 회생할 수 있도록 올바른 결정을 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최병훈 쌍용차 상거래 채권단 사무총장은 “340여개의 협력업체들은 지난 2년 동안 돈 한 푼 받지 못하고 납품을 했으나 회사를 살리자는 마음으로 14%의 낮은 변제율에도 회생에 동참하고 있는 반면, 산업은행은 원금과 이자는 물론 지연이자까지 모두 받으려 하며 국책은행으로서의 역할을 저버리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 사무총장은 이어 “앞서 대우조선이나 아시아나가 어려울 땐 국가기간 산업이란 명목 하에 공적자금을 투자했지만, 유독 쌍용차엔 엄격한 잣대를 적용하고 있다”며 “협력 업체를 비롯해 이에 속한 32만명의 가족들을 생각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쌍용차 노조가 요구서한을 전달하고 있다. / 사진=유주엽 기자
쌍용차 노조가 요구서한을 전달하고 있다. / 사진=유주엽 기자

현재 쌍용차는 산은에 약 1900억원의 채무원금과 196억원의 이자가 있는 상황이다. 상거래 채권단은 지난달에도 산은을 비롯해 기획재정부, 국무총리실 등 각 정부부처에 이자 탕감을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산은은 쌍용차의 이자를 탕감해줄 시 배임 혐의가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며 부정적인 의사를 드러냈다.

쌍용차의 이자 탕감 및 원금에 대한 출자전환 요구는 오는 26일 예정된 관계인집회에서 채권단의 동의를 확보하기 위한 조치다. 관계인집회에서 채권단의 동의를 얻으면 향후 회생법원에서 최종인가를 받을 수 있다. 채권단 동의엔 회생담보권자 4분의 3, 회생채권자의 3분의 2, 주주의 2분의1 이상의 동의가 필요하다.

쌍용차가 산은으로부터 이자를 탕감 받게 되면 실질 변제율은 45% 수준으로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현재 상거래 채권단의 실질변제율은 41.2%다. 앞서 실질변제율은 36.39%에 그쳤으나 KG컨소시엄이 300억원을 추가 투입하며 실질변제율이 40%를 넘어섰다. 실질변제율이 높아질수록 채권단의 동의를 받을 가능성도 높아진다.

한편, 상거래 채권단은 향후 계획과 관련해 현재의 입장을 고수하며 회생을 위한 최선의 조치를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 대표는 “산은이 요구안에 불응하더라도 회생을 위해 입장을 유지할 것이다”고 말했다. 원금 출자전환과 관련해선 “출자전환이 이뤄지면 향후 쌍용차 운영자금으로 활용할 예정이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