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컨소시엄 3355억원 제시···쌍방울보다 445억 낮지만 자금 조달서 고평가
인수대금 포함 9000억원 인수 예정···이르면 8월 말 관계인 집회

/ 사진=쌍용차
/ 사진=쌍용차

[시사저널e=박성수 기자] 쌍용자동차 최종 인수 예정자로 KG컨소시엄이 확정됐다.

28일 쌍용차는 서울회생법원 허가를 받아 KG컨소시엄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KG컨소시엄은 특수목적법인 KG모빌리티, KG ETS, KG스틸, KG이니시스, KG모빌리언스 및 켁터스 PE, 파빌리온 PE로 구성됐으며, 컨소시엄 대표는 KG모빌리티다.

쌍용차와 매각주간사 EY한영회계법인은 에디슨모터스컨소시엄과 투자계약이 해제된 이후 스토킹호스 방식으로 재매각을 추진했으며, 우선 인수 예정자로 KG컨소시엄을 선정한 바 있다.

이후 공개 입찰 과정에서 쌍방울 그룹 계열사로 구성된 광림컨소시엄이 인수의향서를 제출하며 KG컨소시엄과 경쟁했다. 광림컨소시엄 인수조건을 평가한 결과 KG컨소시엄 보다 낮은 점수를 획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대금의 경우 광림컨소시엄이 3800억원을 제시하며 KG컨소시엄(3355억원)보다 높은 가격을 써냈지만 자금 조달확실성, 운영자금 확보 계획, 인수자의 재무 건전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KG컨소시엄이 더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쌍용차는 “이번 재매각에서는 금액 규모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금액 조달 확실성과 회사로 유입되는 형태(자본금 또는 부채 등)도 중요한 요소로 평가했다”며 “관계인집회 전에 인수대금 잔금 납입 문제가 없어야 하고, 인수 이후 협력사 등에 지급해야만 하는 공익채권의 변제의 확실성도 담보하기 위한 차원이다”고 말했다. 이어 “인수 후 과도한 부채로 장기적인 회사의 재무 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해 결정했다”고 덧붙였다.

광림컨소시엄은 운영자금으로 7500억원을 제시했으나 자금조달증빙으로 제시된 1500억원을 제외하면 계열사 공모 방식의 유상증자 및 해외 투자자 유치를 통한 CB 발행 등 단순 계획에 불과했으며, 재무적 투자자도 확보하지 못했다는게 회사 측 설명이다.

반면 KG컨소시엄은 운영자금 5645억원을 자체 보유한 자금으로 전액 유상증자 방식으로 조달하기로 했다.

KG컨소시엄이 최종 인수예정자로 선정되면서 쌍용차는 회생계획안을 작성해 7월 말까지 법원에 제출할 예정이다. 이어 채권자 및 주주 동의를 위한 관계인집회를 8월 말 또는 9월 초 진행한다.

정용원 쌍용차 관리인은 “채권자 등 이해관계인의 입장에서 다소 미흡한 점이 있을 수 있으나, 에디슨모터스컨소시엄에 비해 인수금액이 증가하고 인수자 요구 지분율이 낮아져 공익채권 변제 재원을 확보해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M&A가 성공적으로 완료된다면 토레스 성공을 토대로 향후 전기차 등 추가모델 개발을 차질 없이 진행해 경영 정상화를 앞당겨서 이뤄내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