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공장 법인 및 브라질 공장 3년만 흑자 전환
중국 사드 사태 이후 적자 계속···적자 폭은 줄어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 사진=현대차 앨라배마 법인 홈페이지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 사진=현대차 앨라배마 법인 홈페이지

[시사저널e=박성수 기자] 현대자동차 주요 해외 법인이 지난해 흑자를 기록했다. 공장 가동률 개선 및 고부가가치 차량 판매가 늘어난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중국 법인의 경우 작년대비 손실은 줄었지만, 여전히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미국 공장 법인의 작년 순이익은 2370억원으로 지난 2020년 1조191억원 적자에서 흑자 전환했다. 미국 공장은 지난 2019년에도 2282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바 있어 3년 만에 흑자로 돌아선 셈이다.

브라질 법인도 작년 410억원 순이익을 내며 3년 만에 흑자 전환했다. 브라질 법인은 2019년 661억원, 2020년 473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지난해 가장 많은 순이익을 낸 해외 법인은 판매를 담당하는 미국 법인으로 1조285억원을 달성했다. 이어 인도 법인이 4374억원, 체코 공장 4175억원, 터키 법인 1985억원, 러시아 공장1721억원, 캐나다 법인 1179억원, 호주 법인 281억원, 유럽 법인 114억원 순이다.

현대차 해외 법인 실적 상승 요인은 판매 믹스 및 공장 가동률 개선으로 분석된다. 현대차가 최근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등 고부가가치 차종 판매를 늘리고 있으며, 내연기관차보다 가격대가 높은 친환경차 비중을 높이며 수익이 개선됐다. 또한 지난해 반도체 부족 사태에도 공장 가동률을 높인 점 등이 흑자 전환 이유로 꼽힌다.

미국 공장 가동률은 지난 2020년 72.6%에서 지난해 78.8%로, 브라질 공장은 71.7%에서 89.2%로 각각 올랐다. 지난해 현대차 전체 공장 합산 가동률은 94.1%로 2020년 84.1%보다 10%p 상승했다.

기아 주요 해외 법인도 흑자를 달성했다.

기아가 최근 공시한 감사보고서를 보면 2020년 6157억원 적자를 기록한 미국 공장은 지난해 1165억원 순이익을 내며 흑자 전환했다. 기아 미국 공장이 흑자전환한 것은 2017년 이후 4년 만이다.

또한 미국 법인(8554억원), 슬로바키아 공장(2999억원), 러시아 법인(2803억원), 인도법인(1859억원) 등 다른 해외 법인도 2020년에 이어 흑자를 이어갔다.

한편 현지 업체와 합작해 사업을 하는 중국 법인의 경우 2017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 사태 이후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베이징 현대는 2020년 1조1520억원 적자에서 지난해 1조129억원, 둥펑위에다기아는 2020년 8355억원 적자에서 지난해 7832억원 적자를 기록하는 등 적자 폭은 감소했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제네시스를 필두로 현대차 아이오닉5, 기아 EV6를 비롯한 전기차를 출시하며 중국 시장 공략에 나설 방침이다. 지난해 제네시스는 G80 전기차 및 GV70 전기차 등 주력 모델을 중국에서 최초 공개하며 중국 시장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제네시스는 올해 GV70 EV, GV60 등 전기차를 순차적으로 투입할 계획이다.

기아도 중국 장쑤위에다 그룹과 양자 합자 형태로 경영구조를 재편하며 중국 점유율 확대에 나선다. 기아는 내달 베이징모터쇼에서 합자사의 새 사명과 신규 CI및 SI를 발표하고 브랜드 이미지 개선에 나설 계획이다. 아울러 2027년까지 6종의 전기차를 중국 시장에 선보일 계획이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