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상반기 착공, 오는 2024년 하반기 가동 예정
첨단 공정 적용한 시스템 반도체 생산 목표
[시사저널e=이호길 기자] 삼성전자 신규 파운드리 생산부지가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로 결정됐다. 투입되는 금액은 170억달러(약 20조원)로 역대 미국 투자 중 최대 규모다. 내년 상반기 착공해 오는 2024년 하반기부터 가동될 예정으로 첨단 공정을 적용한 인공지능(AI), 5세대 이동통신(5G), 고성능 컴퓨팅(HPC) 등의 시스템반도체를 생산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23일(현지시간) 텍사스 주지사 관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파운드리 신규 부지로 테일러시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기자회견에는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 그렉 애벗 텍사스 주지사, 존 코닌 상원의원 등이 참석했다.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신규 공장 부지로 테일러시를 낙점한 이유는 반도체 생태계 강화를 꾀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생산라인이 들어서는 테일러시의 150만평 부지는 오스틴 공장과 25km 떨어져 있어 용수와 전력 등 기존 사업장의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이를 통해 시너지를 전망했다. 또 텍사스 지역에는 IT 기업과 대학이 있어 파운드리 고객과 인재 확보에도 용이하단 분석이다. 아울러 테일러시 교육구 정기 기부, 학생들의 현장 인턴십 제도 등을 통해 지역사회와 동반성장하겠단 목표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5월 미국 파운드리 공장 추가 건설 계획을 밝힌 이후 입지를 물색해왔다. 오스틴시와 테일러시를 비롯해 애리조나주 굿이어, 뉴욕주 제네시카운티 등이 후보로 거론된 바 있다.
삼성전자는 테일러시의 신규 라인을 비메모리 분야에서도 글로벌 1위로 도약하겠다는 ‘시스템반도체 비전 2030’의 핵심 생산기지로 활용할 예정이다. 기흥, 화성, 평택, 오스틴과 테일러를 잇는 시스템 반도체 생산 체계 강화로 수요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신규 고객사 확보에 유리한 고지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 부회장은 “테일러시 신규 반도체 라인 투자 확정은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초석이 될 것”이라며 “신규 라인을 통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안정화는 물론, 일자리 창출과 인재 양성 등 지역사회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애벗 주지사는 “삼성전자의 신규 테일러 반도체 생산시설은 텍사스 중부 주민들과 가족들에게 수많은 기회를 제공하고, 텍사스의 특출한 반도체 산업 경쟁력을 이어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