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출소 11일 만···미래 먹거리 분야 적극 투자 육성, M&A 시사도
4만명 채용 계획으로 고용 규모 유지···공채 제도 역시 이어가기로
[시사저널e=엄민우 기자] 삼성이 향후 3년 간 240조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업계에선 특히 미래먹거리로 여겨지는 시스템반도체와 바이오 부문에 어떻게 투자가 어떻게 이뤄질지 여부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삼성전자 등 관계사들은 24일 오는 2023년까지 240조원 투자, 4만명 고용을 골자로 하는 대규모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가석방 된 지 11일 만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코로나 이후 예상되는 산업·국제질서, 사회구조의 대변혁에 대비해 미래에 우리 경제 사회가 당면할 과제들에 대한 기업 역할을 다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은 지난 2018년에도 3년 간 180조원 투자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날 발표한 투자규모은 당시보다 60조원 늘어난 액수다. 한 IT업계 인사는 “3년 전 계획대비 60조원 투자금액이 늘었지만, 전자부문 투자액수만 보면 그때와 크게 상이한 것 같지 않다”며 “바이오 부문 영향 때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직접채용 규모 역시 4만명으로 3년 전 계획과 비슷한 수준이다. 다만 코로나19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기업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에도 고용규모를 유지키로 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삼성 투자계획과 관련해 관심을 갖는 부분은 역시 미래먹거리로 여겨지는 시스템반도체와 바이오 부문이다. 삼성은 메모리반도체 부문에선 최강자지만 두 분야에선 도전자 입장이다. 삼성전자 주식이 정체인 것과 관련, 미래먹거리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이라는 분석들이 있었기에 두 부문에 대한 투자 계획에 시장에선 관심을 가져왔다. 보다 구체적인 투자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날 삼성전자 주가는 약 3% 상승했다.
시스템반도체와 관련 삼성전자는 기존 투자 계획을 조기 마무리 짓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선단공정 적기 개발 및 혁신제품 경쟁력을 하고 글로벌 1위로 올라가겠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2030년까지 171조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내비쳤던 바 있다.
삼성전자는 필요할 경우 과감한 M&A(인수합병)에도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특히 시스템반도체 부문에서의 M&A 여부가 주목된다. 시장에서 큰 관심을 가져왔던 부분이다. 다만 이와 관련해선 이 부회장이 얼마나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지 여부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더불어 ‘포스트 반도체’로 불리는 바이오 부문에도 적극 투자를 이어갈 계획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는 CDMO(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 분야에서 5공장과 6공장 건설을 통해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생산 허브로서 역할을 확보하고 백신 및 세포, 유전자치료제 등 차세대 치료제 CDMO에도 신규 진출할 예정이다.
삼성의 바이오 투자계획은 현재까진 순풍을 타고 있다. 건설 중인 4공장이 완공되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생산 CAPA 62만ℓ로 CDMO 분야의 압도적인 세계 1위에 올라선다. 바이오시밀러를 담당하는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현재 10번째 제품이 임상에 돌입했고, 이미 5개 제품이 글로벌 시장에 출시됐다.
이외에도 삼성은 메모리 부문에서 원가경쟁력을 통한 초격차 전략을 이어나가고 차세대 통신, AI(인공지능), 로봇 등 4차 산업혁명과 관련 주도권을 잡기 위한 투자를 이어갈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삼성전자 등 주요계열사는 모두 공채 제도를 이어가기로 했다. 대부분 대기업들이 공채를 폐지한 것과 대조적이다. 삼성 측은 “국내 채용시장의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위해 공채를 앞으로도 계속 유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실상 채용과 관련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