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 최대 규모···10월 사전청약
분양가 3.3㎡당 1800만원 안팎 예상
GTX-B 구축···지하철 4·6·9호선 연장 수혜
[시사저널e=길해성 기자] 남양주 왕숙에선 2028년까지 6만9000호가 공급된다.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다. 주택 공급과 함께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와 서울 지하철 4·6·8·9호선 연장 등의 광역교통망도 대거 확충될 예정이다. 인근 다산·별내신도시와 함께 수도권 동북부 주거벨트를 형성할지 이목이 쏠린다.
◇왕숙1·2, 6만9000호 공급···10월부터 사전청약
남양주 왕숙은 3기 신도시 중 규모가 가장 크다. 1기 신도시인 일산과 맞먹을 정도다. 면적이 넓다보니 공급 예정인 주택 수도 많다. 주택 6만9000호가 예정돼 있다. 입주가 완료되면 16만1000명이 사는 초대형 도시로 탈바꿈하게 된다. 서쪽으로는 별내신도시, 남쪽으로는 다산신도시와 인접해 있다. 주변에 진접2택지지구와 양정역세권도 개발이 진행 중이다.
이곳은 1지구와 2지구로 나눠 개발이 진행된다. 왕숙1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전읍, 진건읍 일원에 조성된다. 면적은 866만2125㎡다. 주택 5만4000호, 인구 12만6000명이 계획돼 있다. 경제 중심 도시의 자족도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다만 자족용지는 남쪽으로 집중 배치해 주택용지와 단절시켜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왕숙2는 일패동, 이패동 일원, 239만1830㎡ 부지에 주택 1만5000호, 인구 3만5000명 규모다. 사업지구 내 공원녹지 비율이 30%로 친환경 주거단지를 표방한다. 아울러 전시·공연·창작 등의 기능이 융합된 문화예술 중심 도시로 조성하겠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사전청약은 8900호가 예정돼 있다. 올해는 10월 왕숙2에서 1500호, 11월 왕숙1에서 2400호가 사전청약 접수를 받는다. 나머지는 내년에 공급될 예정이다. 사전청약과 본청약을 거쳐 입주 목표는 2028년이다.
◇분양가 3.3㎡당 1800만원 안팎···산정 기준에 따라 더 높아질 수도
남양주 왕숙의 분양가는 3.3㎡당 1800만원 안팎이 될 전망이다. 직방에 따르면 왕숙과 가장 가까운 퇴계원읍은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격이 1600만원에 형성돼 있다. 다산신도시와 별내신도시는 각각 2300만원, 2100만원 수준이다. 신축 아파트의 분양가도 2000만원대다. 3기 신도시의 분양가가 주변 시세의 70~80%에 책정되는 만큼 분양가는 공급면적 112㎡(약 34평) 기준 5억원 중반에서 6억원 초반이 예상된다.
일각에선 정부가 분양가 산정 기준을 다산신도시로 잡을 경우 3.3㎡ 분양가가 2000만원을 넘을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달 다산동 아파트 3.3㎡당 매매가는 1945만원이다. 전년 동기(1555만원) 대비 25% 올랐다. 다산동 ‘힐스테이트 다산’ 전용 84㎡은 지난달 24일 10억3000만원(3.3㎡당 3029만원)에 거래됐다. ‘다산자연앤롯데캐슬’ 전용84㎡도 9억3000만원(3.3㎡당 2735만원)에 팔렸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어떤 아파트를 기준으로 삼느냐에 따라 분양가가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최근 몇 년 간 다산·별내·지금지구 등 주변 땅값이 많이 올랐다는 점도 변수가 될 전망이다”고 말했다.
◇왕숙1, GTX-B 구축···4·6·8·9호선 연장 수혜 기대
남양주 왕숙엔 광역교통망이 획기적으로 구축될 예정이다. 현재 왕숙1과 왕숙2에서 서울시 경계까지 거리는 각각 3.5㎞, 5.1㎞다. 수치상으론 가까워 보이지만 서울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았다. 왕숙1엔 경춘선 노선 하나뿐이다. 이마저도 아래쪽에 위치했다. 왕숙2엔 경인중앙선이 지나지만 정차역이 없는 실정이다. 이 일대가 그동안 철도교통의 불모지로 불렸던 이유다.
왕숙의 광역교통망 호재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와 4·6·8·9호선 연장이 있다. 왕숙1엔 GTX-B가 들어선다. GTX-B는 남양주부터 서울 청량리, 서울역, 여의도를 거쳐 인천 송도를 잇는 노선이다. 왕숙1에는 GTX-B가 정차하는 경춘선역이 신설된다. 왕숙1에서 GTX-B를 이용하면 서울역까지 25분 만에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신설되는 경춘선역은 왕숙2와는 다소 거리가 있는 편이다.
왕숙에는 서울 강일동과 하남을 거쳐 지하철 9호선이 연장된다. 현재 지하철 9호선은 4단계 구간(중앙보훈병원~고덕강일1지구)이 2026년 개통 목표로 진행 중이다. 이번 연장 노선은 9호선 5단계 구간으로 보면 된다. 이를 위해 왕숙1 남쪽에 9호선과 경춘선 환승역이, 왕숙2 중심부에 9호선과 경의중앙선 환승역이 새로 놓인다. 9호선이 개통되면 왕숙1에서 강남역까지 이동 시간이 1시간 10분에서 45분으로 단축된다.
이 밖에도 왕숙1 북쪽에 인접한 진접2지구엔 4호선과 경의중앙선 환승역이 새로 놓인다. 4호선 연장선이기 때문에 이를 통해 상계, 미아, 동대문, 명동 등 서울 중심부로 이동 가능하다. 별내지구 내 신설되는 4호선 별내별가람역까지 연장되는 8호선(별내선) 이용도 가능할 전망이다.
지상 도로망도 개선된다. 한강변 도로망의 교통 수요 분산을 위해 한강교량을 신설하고 올림픽대로도 확장할 계획이다. 상습정체구간인 북부간선도로와 경춘북로, 국도46호선도 확장해 남양주~서울 방면의 교통 문제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하철 연장 등 18개 사업에 총 2조3000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 [3기 신도시 까보기③] 하남교산, 선호도 1위···지하철 호재에 자족기능까지
- [3기 신도시 까보기④] 고양창릉, GTX 타면 강남 10분···100만평 녹지로 도시 숲 완성
- [3기 신도시 까보기⑤] 과천, 강남접근·자족기능 ‘끝판왕’···과거 명성 부활 신호탄
- [3기 신도시 까보기⑥] 부천대장, 마곡 연계 자족도시로···소각장은 해결 과제
- [3기 신도시 까보기⑦] 안산장상, 시골 변두리서 신안산선 품은 아파트촌으로
- [3기 신도시 까보기⑧-끝] 광명시흥, 준서울 입지···여의도 4배 규모 아파트촌으로
- [영상] GTX 타고 서울역 15분···‘남양주 왕숙’에 쏠린 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