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4월~2018년 9월 생산 ESS배터리 대상···“中공장 초기제품 리스크 발견”
“고객신뢰향상 및 산업생태계 회복 위한 조치”···교체·추가조치 총 비용 4000억 예상

LG에너지솔루션 초대 대표이사 김종현 사장. /그래픽=김은실 디자이너
김종현 LG에너지솔루션 사장. /그래픽=시사저널e DB

[시사저널e=김도현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를 자발적으로 리콜한다. 교체 등 추가조치에 약 4000억원의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25일 LG에너지솔루션은 2017년 4월부터 2018년 9월까지 ESS배터리 전용 생산라인에서 생산된 배터리를 대상으로 교체에 나선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고객안전과 품질을 최우선으로 글로벌 선도기업으로서 ESS산업의 신뢰 회복 및 사회적 책무를 다하기 위함이다”고 설명했다.

이번 교체는 LG 측이 ESS 화재원인에 대한 정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국에서 초기 생산된 ESS 전용 전극에서 일부 공정 문제로 인한 잠재적인 리스크가 발견된 것에 따른 후속조치다. 업체 측은 이번 ESS배터리 교체·조치로 약 4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회사 관계자는 “해당 리스크가 가혹한 외부환경과 결합되면 화재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고 부연했다. 이번 결정에 따라 LG에너지솔루션은 해당 제품이 적용된 국내외 사이트에 대해 고객과 협의 후 교체를 포함한 필요한 안전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LG는 이번 배터리 교체를 계기로 배터리 선도업체로서 ESS 산업 생태계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ESS배터리 교체가 이뤄지는 국내 전력망 ESS 사이트에 대해서는 배터리 충전율(SOC)을 정상 운영할 예정이며, 국내외 배터리 진단 및 제어 소프트웨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할 계획이다. 현장점검도 적극 실시해 리스크를 제거하겠다는 포부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12월 1일 분사 후 전사적인 품질 수준을 전체적으로 재점검하고, 안전성 측면에서 조금이라도 문제가 발생하거나 잠재적인 리스크가 발견될 경우 자발적인 교체를 포함해 고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선제적인 조치를 취한다는 강력한 원칙을 수립한 바 있다. 매월 24일을 ‘Q(Quality) day’로 정하고 품질 혁신활동을 이어왔다.

김종현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안전과 품질을 모든 의사결정의 최우선 기준으로 삼을 것”이라며 “품질 혁신 활동을 통해 어떠한 위험에도 견딜 수 있는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배터리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