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자금·증권 동시결제 시스템 특수성 때문” 해명···불일치 발생 이후 수탁업무 중단
[시사저널e=이기욱 기자] 하나은행이 ‘옵티머스펀드 돌려막기’ 의혹에 대해 정면 부인하고 나섰다. 옵티머스펀드의 자금이 정상적으로 운용되지 않는 상황에서 수탁사 하나은행이 고유자산을 활용해 잔액 숫자를 맞췄다는 일각의 의혹에 대해 하나은행 측은 “단순한 일일 마감업무의 과정”이라고 해명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금융감독원과 검찰은 옵티머스펀드 부실 사태와 관련된 하나은행의 위법 행위를 적발하고 이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다. 하나은행은 지난 2018년 8월쯤 옵티머스 측이 돈을 입출금하는 과정에서 맞지 않았던 잔액 부분을 임의로 조정해줬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하나은행이 올해 6월 발생한 옵티머스 환매 중단 사태의 위험성을 2년 전부터 인지하고도 묵인했다는 ‘공모 의혹’도 제기됐다.
하나은행 측은 ‘공모 의혹’에 대해 즉시 반박했다. 하나은행에 따르면 지난 2018년 8월 9일과 10월 23일, 12월 28일 총 3회에 한해 옵티머스펀드의 환매자금이 불일치하는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했다. 이러한 이례적인 불일치는 펀드 자금·증권 동시결제 시스템(DVP, Delivery Vs Payment)의 특수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DVP 시스템은 환매 4일 전 고객의 환매 요청에 따라 판매사가 운용사에 환매를 청구하고 운용사가 이를 승인한 후 예탁결제원에 접수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환매 1~3일 전까지 판매사와 수탁사는 운용사의 환매대금 확정과 승인을 확인하고 환매 자료를 조회할 수 있다.
환매당일 오전에는 운용사의 환매청구 승인에 따라 판매사가 환매대금을 고객 계좌로 이체하고 예탁결제원은 당일 오후 4시 결제자료를 만들어 한국은행 앞으로 전문을 발송한다. 마지막으로 수탁사는 한국은행으로부터 결제자료를 받은 뒤 판매사 앞 환매대금을 결제하게 된다.
하지만 문제 당일에는 사채발행회사로부터 환매자금의 일부가 입금되지 않은 상황이 발생했고 하나은행은 마감처리 업무를 위해 은행 내부 관리시스템인 증권수탁시스템상의 전체 미운용자금의 수치를 조정했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펀드간 실제 자금의 이동을 수반하거나 당사자간 권리의무변동이 발생하지 않은 단순한 일일마감업무의 과정이었다”며 “자금 불일치가 발생함에 따라 2018년 11월 옵티머스와의 수탁업무를 중단하고 추가 수탁을 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후 옵티머스가 자금 불일치 발생되지 않도록 펀드를 기존 개방형에서 폐쇄형으로 변경하고 투자자산의 만기를 펀드 만기 이전으로 설정하는 조치를 취했다”며 “이후 2019년 5월 수탁업무를 재개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