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재일 의원 “서울·대도시 외 지역 차별”

자료=시사저널e
자료=시사저널e

통신 3사가 5G를 상용화한지 약 1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일부 시·도 건물 내에서는 5G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변재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받은 ‘시도별 5G 옥내 기지국 및 장치 구축현황’에 따르면 올해 7월 11일 준공 신고기준으로 전체 기지국 대비 실내 기지국 수는 전체 2.9%에 그쳤다. 특히 전체 실내 기지국 3563개 가운데 1629개는 서울에 집중돼 있었다.

실내 기지국과 장치 구축이 가장 부진한 통신사는 LG유플러스로 부산·대구·광주·울산·강원·전남·경북·경남 등 8개 시도에 실내기지국을 구축하지 않았다. SK텔레콤은 울산과 경북, KT는 세종과 충북에 실내 기지국을 구축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통신사별 실내 기지국 수는 SK텔레콤이 1831개로 가장 많았고, KT(980개)와 LG유플러스(752개)가 뒤를 이었다.

변재일 의원은 “서울이나 대도시 이외의 지역주민들은 현재 현저하게 차별이 있는 5G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는 사실이 명백히 밝혀졌다”며 “일상생활의 대부분이 집이나 직장 등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고려하면 통신사는 실내 기지국 구축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과기부와 이통사가 영업비밀을 근거로 5G 전국망 구축을 위한 상세계획 및 투자계획을 국회에 제출하지 않았다”며 “과기부는 서울 및 6개 시도의 2000여개 주요 다중이용시설에 5G 네트워크 구축현황을 즉시 점검해 조사 결과를 5G 이용자인 국민에게 알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