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比 실적감소, 전망치보단 상회···유럽 전기차 지원 중대형전지 실익 개선 전망
삼성SDI가 1038억원의 영업이익을 실현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등의 여파로 지난해 2분기 대비 34.0% 감소했지만, 당초 시장의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28일 삼성SDI는 컨퍼런스콜을 갖고 2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은 2조5586억원을 기록했다. 직전분기 대비 6.7% 증가한 수치며,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6.4% 상승했다. 영업이익의 직전분기 대비 신장률은 92.2%였다. 매출 및 영업이익 등 모두에서 당초 시장의 전망치를 상회하는 수치를 나타냈다.
전지사업부문 매출은 1조9178억원을 기록했다. 자동차전지의 경우 코로나19에 따른 고객사들의 공장가동이 멈춤에 따라 다소 감소했다. 에너지저장장치(ESS)는 미주 전력용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해외매출이 증가했다. 소형전지는 1분기 기저효과로 주요 어플리케이션용 배터리 매출이 증가했다. 폴리머배터리는 시장약세가 지속돼 매출이 감소했다.
전자재료사업부문 매출은 6381억원이다. 직전분기 대비 6.0% 증가했다. 반도체소재는 서버용 DRAM 수요 호조로 매출이 증가했다. 디스플레이 소재 중 편광필름의 경우 태블릿과 노트PC 등 IT향 판매 확대로 매출이 늘었으나 OLED소재는 스마트폰 수요 약세로 매출이 감소했다.
업체 측은 하반기 중대형전지의 매출이 증가하고 수익성 역시 개선될 것으로 점쳤다. 유럽 전기차 지원정책 확대 영향으로 판매가 늘 것 이란 예측이다. ESS는 해외 전력용 중심으로 판매 증가가 지속될 것이며, 소형전지는 e바이크, e스쿠터 등 마이크로 모빌리티용 원형 배터리 판매가 증가하고 폴리머 배터리 역시 주요 고객사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 영향으로 판매가 늘어날 것이란 게 업체 측 설명이다.
전자재료사업부문 역시 마찬가지라 지적했다. 반도체소재는 견조한 매출 증가가 지속되고 OLED소재 역시 고객 신모델 출시로 큰 폭의 매출 증가가 예상되지만, 편광필름은 IT용 수요 둔화로 매출이 소폭 감소할 것으로 회사는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