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서울 강서구 본사에서 기자회견 진행···이상직 일가 보유한 이스타홀딩스 지분 38.6% 이스타항공에 헌납
“최악의 상황시 제주항공도 책임 피할 수 없어”

29일 이스타항공은 서울 강서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상직 일가가 보유한 이스타홀딩스 지분을 모두 이스타항공 측에 헌납한다고 밝혔다(사진 오른쪽부터 최종구 이스타항공 대표이사, 김유상 전무). / 사진=박성수 기자
29일 이스타항공은 서울 강서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상직 일가가 보유한 이스타홀딩스 지분을 모두 이스타항공 측에 헌납한다고 밝혔다(사진 오른쪽부터 최종구 이스타항공 대표이사, 김유상 전무). / 사진=박성수 기자

이스타항공이 제주항공과의 인수합병이 지지부진하자 마지막 승부수를 던졌다.

이스타항공 실소유주인 더불어민주당 이상직 의원 일가가 보유하고 있는 이스타홀딩스 지분 전부(약 410억원 규모)를 이스타항공 측에 헌납하기로 했다. 이스타홀딩스는 이스타항공 지분 39.6%를 보유한 최대주주이며, 이스타홀딩스 지분은 이상직 의원의 아들 이원준(66.7%), 딸 이수지(33.3%) 대표가 지분을 100% 갖고 있다.

29일 이스타항공은 서울 강서구 본사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최종구 대표이사와 김유상 재무 담당 전무가 참석했으며 이상직 의원은 회견장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김유상 전무는 기자회견에 불참한 이상직 의원을 대신해 입장문을 대독했다.

이 의원은 입장문에서 “이스타항공 창업자로서 가족회의를 열고 가족들이 이스타홀딩스를 통해 소유하고 있는 이스타항공 지분 모두를 회사에 헌납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스타항공 문제로 임직원 여러분과 국민들에게 심려를 끼쳐 송구하다”며 “이스타홀딩스의 주식 취득 과정과 절차는 적법했으며, 관련세금도 정상 납부했다. 국민 눈높이에 미치지 못한 점이 있다면 정중히 사과드린다”고 덧붙였다.

또 이스타항공은 제주항공에 인수합병 약속을 확실하게 이행해달라고 촉구했다.

최종구 대표는 “이스타항공이 겪고 있는 어려움의 1차적 책임은 우리에게 있지만, 제주항공 역시 자유롭지 않다”며 “이스타항공에게 최악의 상황이 현실화된다면 제주항공도 책임을 피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는 30일까지 인수에 대한 확실한 의사 표명을 해주길 요청했다.

정부에도 지원을 재차 요구했다.

최 대표는 “국내 LCC업계는 최근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사면초가의 위기에 놓였다”며 “함께 피땀흘려 일궈온 항공산업 생태계가 붕괴되기 전에 정부가 과감하고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줄 것을 요청한다”고 전했다.

아울러 임직원들에게는 위기상황 속에 구성원 모두가 하나로 뭉쳐야 한다며, 한 마음으로 합심해 위기를 돌파하자고 당부했다.

한편 이스타항공 측은 대주주가 헌납한 지분을 토대로 체불 임금 해소를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김 전무는 “이상직 일가가 헌납한 지분은 임금 체불 해결에 쓰일 계획이다”며 “계산을 해봐야 알겠으나, 대부분 금액이 해결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스타항공은 현재 250억원의 임금이 체불된 상태다.

제주항공과의 체불임금 지급관련 논란에 대해서는 “계약서 내용을 보지는 않았지만, 보통의 계약은 인수자가 밀린 임금을 해결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