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말·서버 기본 기능 탑재 가능성 높아

자료=KT
자료=KT

KT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핵심 기술이 글로벌 표준으로 채택됐다. KT 기술은 앞으로 출시될 5G MEC 단말과 서버 기본 탑재될 가능성이 높다.  

KT는 국제 인터넷 기술 위원회(IETF) 107차 회의에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핵심 ‘이기종 네트워크 접속 관리 기술(MAMS)’ 관련 규약을 IETF 글로벌 표준으로 제안했고 이 기술이 최종 채택됐다고 21일 밝혔다.

IETF는 인터넷 표준 규격을 개발하는 미국 ‘IAB’ 기술 업무 수행 단체다. IETF는 인터넷 프로토콜의 표준을 제정한 바 있다.

KT가 제안한 이기종 네트워크 접속 관리 기술은 5G, LTE, WIFI, 유선 등 서로 다른 장비와 네트워크 접속 경로를 관리하는 데 쓰는 기술이다. 경로관리를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했다. 기술 개발에 노키아 벨 연구소, 인텔, 보드콤 등이 협력했다.

이 기술은 인공지능, 커넥티드 카, 클라우드 게임, 스마트 팩토리 등과 같이 5G MEC 응용 서비스 개별 요구사항(저지연, 전송속도, 신뢰성 등)과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접속 방법을 맞춤 제공할 수 있다.

MEC는 데이터를 이용자의 물리적 거리와 가까운 곳에서 처리하는 기술이다. MEC가 5G 네트워크에 적용되면 초저지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KT는 이번에 표준 채택된 기술이 앞으로 출시되는 5G MEC 단말과 서버에서 기본 기능으로 탑재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종식 KT 인프라연구소장은 “5G 상용 서비스 준비 과정에서 습득한 KT의 5G 핵심 기술과 IPR(지적재산권)들이 IETF를 포함한 다양한 표준화 단체를 통해 표준 기술로 채택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KT는 고객을 위한 핵심 5G 기술의 발굴과 글로벌 표준화를 위해 연구개발 역량을 계속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K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