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34곳 중 소송 진행 중
원고로 제기한 소송 건수···1년 새 42% 증가
국내 증권업계가 갈수록 소송에 휘말리고 있다. 증권사가 연루된 소송은 1년 동안 12% 넘게 증가했고 원고로서 제기한 소송은 40% 넘게 늘었다.
3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증권사 56곳 가운데 소송을 진행하는 곳은 34개 증권사로 나타났다. 총 소송 건수는 370건으로 1년 전보다 12.8% 늘었다. 소송금액은 3조1838억원으로 52.7% 증가했다.
증권사가 원고로서 제기한 소송은 148건으로 1년 전보다 42.3% 늘었고 소송금액도 6440억원으로 61.9% 늘었다.
증권사가 원고로 제기한 소송은 2017년 말 94건에서 지난해 말 109건으로 증가했다. 이어 올해 6월 말 148건으로 증가하며 매년 증가하고 있다.
반대로 증권사가 피고로서 법정에 서는 소송은 222건으로 0.9% 줄었다. 다만 소송금액은 2조5398억원으로 50.5% 늘었다.
올해 6월 말 현재 가장 많은 소송에 얽힌 곳은 한국투자증권으로 41건이다. 이어 미래에셋대우(38건), 유안타증권·NH투자증권(각 31건), KB증권·메리츠종금증권(각 25건), DB금융투자(17건), 하나금융투자(14건) 등 순이다.
소송금액 증가 면에서 보면 현대차증권 소송금액이 1년 전보다 687.7% 늘었고 한화투자증권은 526.9% 늘었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1052.9% 증가했다.
이들 증권사는 지난해 중국 에너지기업인 중국국저에너지화공집단(CERCG)과 관련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부도 사태로 상호 소송전을 벌여 소송금액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5월 한화투자증권과 이베스트투자증권은 중국국저에너지화공집단(CERCG)의 자회사 CERCG캐피탈이 발행한 1600억원 규모의 회사채를 기초자산으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를 발행했다.
하지만 당시 판매된 ABCP는 판매된 지 3일만에 CERCG의 또 다른 자회사인 CERCG오버시즈캐피탈 회사채가 부도를 맞으면서 신용평가사들은 해당 ABCP의 신용등급를 채무지급 불능을 뜻하는 D등급으로 하향했다. 그해 11월 어음 만기가 돌아왔지만 CERCG캐피탈은 원리금을 돌려주지 못해 부도가 났다.
이에 피해를 본 현대차증권은 두 증권사를 상대로 부당이득금 반환 청구 소송을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