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정량·정성지표 모두 1위···소형은행 1위, DGB대구은행

KEB하나은행이 지난 상반기 기술금융 분야에서 가장 높은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금융은 담보가 부족하더라도 성장성이 큰 기업에게 금융 지원을 하는 제도다.

금융위원회가 28일 발표한 ‘상반기 기술금융 실적 평가’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기술신용대출과 IP(지식재산권)담보대출 평가액 등 정량지표뿐만 아니라 인력 조직, 리스크 관리 등 정성지표에서도 모두 1위를 기록했다.

2위는 IBK기업은행이 차지했다. 기업은행은 배점이 가장 큰 ‘기술대출 기업지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정성평가 지원역량 부문에서도 양호한 성적을 보였다. 지난해 하반기와 비교하면 1위 은행과 2위 은행이 모두 바뀌었다. 지난해 하반기에는 신한은행과 KB국민은행이 각각 1위와 2위에 올랐다.

소형은행 중에는 DGB대구은행이 지난해 하반기에 이어 1위 자리를 유지했다. 대구은행은 공급규모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투자확대, 지원역량에서도 양호한 성적을 기록했다. 공급규모와 지원역량 등에서 양호한 성적을 거둔 Sh수협은행이 그 뒤를 이었다.

금융위 관계자는 “기술금융은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질적으로도 성숙됐다”며 “특히 전체 중소기업 대출에서 기술금융이 25.8%를 차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기술금융 실적 중 창업기업 비중도 크게 확대돼 기술금융이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창업기업의 중요한 자금 조달수단으로 발돋움했다”고 평가했다.

또한 “은행권도 지속해서 기술금융 역량을 강화하고 전문성을 제고해 자체 기술금융 역량을 강화시켰다”며 “향후 기술금융이 은행권의 여신심사시스템에 내재화될 수 있도록 ‘기술-신용평가 일원화’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은행권 기술금융 실적 평가 결과/자료=금융위원회
은행권 기술금융 실적 평가 결과/자료=금융위원회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