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민주노총 참여 설득해 나갈 것”···野, 정부 리더십·노동정책 집중포화
靑 “사회적 대화, 선택사항 아니다”···예정된 일정 고수 입장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불참 결정에 대해 여야가 일제히 유감을 표하면서도 온도차를 보였다.
여당은 민주노총의 경사노위 참여를 위한 설득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내비친 반면, 야당은 정부의 리더십과 노동정책 등을 강하게 비판했다.
우선 민주당은 민주노총이 ‘사회적 대화’에 참여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민주노총의 참여를 위한 설득 작업에 총력을 쏟겠다고 밝혔다.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29일 서면 브리핑을 통해 “민주노총의 경사노위 참여 무산에 유감을 표한다”면서 “대화와 타협의 장에 적극 나설 때 비로소 더 큰 국민적 공감대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은 계속해서 대화를 통해 민주노총의 참여를 설득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정애 정책위 수석부의장도 원내대책회의에서 “민주노총의 참여가 어려워졌지만, 당과 정부는 각 주체와의 실질적인 대화를 통해 노동을 존중하고 더불어 잘 사는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한 해법과 대안을 만드는 데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반면 야당은 정부의 리더십과 노동정책에 집중포화를 가했다.
정용기 자유한국당 정책위의장은 “문재인정부와 민주노총의 관계는 ‘빚투’(나도 떼였다) 현상이 아닌가 싶다”며 “정권 출범 과정에서 민주노총에 커다란 빚을 졌고, 민주노총이 지금 빚을 갚으라고 요구하면서 대한민국 경제와 국민을 볼모로 끌어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도 “문재인정부 출범 후에도 노동3권이 제대로 존중되는 노동 존중 풍토가 조성되지 않은 것이 이번 결정의 근본 원인으로, 청와대에 양대 노총을 불러서 회동하면 경사노위가 작동할 것으로 기대했다면 오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야당은 민주노총이 불참하더라도 경사노위는 지속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태경 바른미래당 최고위원은 “민주노총이 강자의 권력이며, 정파 이익에 치우친 무소불위 정치집단이라는 것이 어제 대의원대회 결과 나타났다”면서 “정부는 20년간 할 만큼 했으니 민주노총을 빼고 경사노위 대화를 즉각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청와대는 민주노총의 경사노위 참여가 무산된 것과 관련해 경사노위 논의는 예정대로 진행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에서 “경사노위는 이미 출범했다”며 “부족하면 부족한대로, 예정된 일정에 맞춰 나가겠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을 향해서는 “사회적 대화와 타협은 해도 되고 하지 않아도 되는 선택사항이 아니다. 우리 사회가 반드시 해야 할 일”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