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준법위, 18일 ‘조건부 재가입 권고’ 결론
특별한 찬반여론 없을 듯하나 일각서 복귀 비판 목소리 나올 가능성도 있어
4대 그룹 복귀 시 전경련 위상회복도 ‘탄력’

삼성 서초사옥. / 사진=연합뉴스
삼성 서초사옥. / 사진=연합뉴스

[시사저널e=엄민우 기자] 삼성준법감시위원회(이하 준법위)가 삼성의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 재가입을 사실상 조건부 승인했다. 이에 따라 삼성은 물론, 국정농단 사태로 탈퇴했던 4대 그룹(삼성·현대차·SK·LG)의 전경련 복귀도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준법위는 18일 서울 서초구 위원회 회의실에서 임시 회의를 열고 삼성의 전경련 가입을 조건부 권고했다.

준법위는 “가입 여부는 제반 사정을 신중하게 검토하여 관계사의 이사회와 경영진이 최종적으로 결정할 문제이나, 위원회는 그동안 노력해 온 삼성의 준법경영 의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만일 관계사가 한경협 가입을 결정하더라도 정경유착 행위가 있는 경우 즉시 탈퇴할 것 등 필요한 권고를 했다”고 설명했다. 준법위는 전날 해당 안건에 대해 논의했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삼성의 전경련 재가입은 준법위 권고가 아닌 이사회 결정 사안이다. 삼성의 준법적 경영활동의 기준점을 제시하는 준법위가 전경련 재가입을 권고한 만큼, 향후 계열사별로 이사회를 열어 복귀 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앞서 4대 그룹의 전경련 탈퇴 역시 동시에 이뤄진 만큼, 삼성 그룹이 전경련에 복귀하게 된다면 4대 그룹의 전경련 복귀도 함께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현대차는 이미 정의선 회장이 전경련이 주도한 ‘한국판 워렌 버핏과의 점심’에 함께 하면서 전경련과 접점을 만들어 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4대 그룹의 전경련 복귀 여부에 중요한 변수는 삼성이었다”며 “삼성이 복귀한다고 4대 그룹이 복귀하는 것은 아니지만, 삼성이 복귀를 안하는데 나머지 4대 그룹이 복귀하는건 현실적으로 어려웠다”고 전했다.

재계에선 일단 일반 여론 자체는 4대 그룹의 복귀 여부에 크게 찬성 및 반대 입장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일각에선 과거 국정농단 사태를 이유로 비판 목소리를 제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4대 그룹 탈퇴 후 전경련은 혁신안 등을 발표하기도 했지만 조직이 크게 줄어들었다. 지난 정권에선 대한상공회의소에 재계 대표 경제단체의 위치를 내주기도 했다. 다만 재계에선 대한상의가 일반 상공인까지 모두 포함하는 단체인만큼, 대기업의 특수성을 감안해 입장을 대변해 줄 단체로 보기엔 한계가 있다는 목소리가 있어왔다. 4대 그룹 외 대다수 대기업들은 전경련 회원으로서 자리를 지키고 있다.

지난 정권에서 패싱 당해온 전경련은 현 정권 들어 경제계 외교사절단을 주도적으로 구성하고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해 민간외교 역할을 하는 등 위상회복에 힘쓰고 있다. 이런 가운데 화룡점정이 될 것으로 평가되던 4대 그룹 복귀가 이뤄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