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좌석 개인별 최적화 환경 제공
‘스마트싱스’‧‘뉴 빅스비’로 집안과 차량 연결성 강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19가 개막한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삼성전자 부스에서 삼성전자 모델이 개인에게 최적화된 환경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차량용 '디지털 콕핏 2019'를 시연하고 있다. / 사진 = 삼성전자
박종환 삼성전자 전장사업팀장 부사장은“이번 CES에서 선보인 ‘디지털 콕핏’은 지난해 대비 보다 나은 연결성과 개인별 최적화된 환경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 사진 = 삼성전자

(라스베이거스(미국) = 송주영 기자) 삼성전자가 하만과 공동 개발한 차량용 ‘디지털 콕핏(Digital Cockpit) 2019’를 8일(현지시각) CES에서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선보인‘디지털 콕핏 2019’는 삼성전자 IT 기술과 하만 전장기술을 접목했다. 지난해 처음 선보인 ‘디지털 콕핏 2018’보다 기능을 한층 향상시켰다.

‘디지털 콕핏’은 아날로그 방식의 계기판과 오디오 등으로 구성된 운전석과 조수석 전방 영역 차량 편의기능 제어장치를 디지털 전자기기로 구성해 만든 장치다.

지난해 대비 디스플레이 3개가 추가돼 총 6개의 디스플레이로 이뤄지면서 개인에게 최적화된 환경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 ‘스마트싱스’와 ‘뉴 빅스비’를 통해 차량 내‧외부 기기간 연결성을 강화했다.

◇ 운전석‧조수석‧뒷좌석에 6개 디스플레이 탑재

‘디지털 콕핏 2019’은 운전석과 조수석에는 3개의 OLED 디스플레이와 1개의 QLED 디스플레이, 뒷좌석에는 2개의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했다.

운전석 화면은 12.3형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속도계, 주유 표시 등 운행정보와 내비게이션, 음악 등의 정보를 동시에 제공해준다.

운전석과 조수석의 중앙에 위치한 화면도 12.3형 OLED를 탑재해 내비게이션, 음악, 라디오, 전화 등의 기본 애플리케이션과 차량에 최적화된 빅스비, 스마트싱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조수석 화면은 고화질 영화, 영상 등 콘텐츠 감상에 최적화된 12.3형 QLED 디스플레이를 적용해 탑승자를 위한 최적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콘트롤 화면은 12.4형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각종 차량 시스템 기능과 화면, 계기판, 노브(Knob)기능 등을 설정할 수 있게 했다.

뒷좌석 화면은 2개 12.4형 OLED 디스플레이를 적용해 이동 중에 개인별로 영화, 음악 등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원형 디자인의 노브를 앞‧뒷좌석에 각각 2개씩 적용해 전 좌석에서 탑승자가 실내온도, 볼륨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빠르게 조작할 수 있다.

특히, 탑승자는 사전에 등록된 탑승자 인식을 통해 화면, 좌석 위치, 온도 등 개인별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하며 취향에 맞게 음악, 영화 등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19가 개막한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삼성전자 부스에서 삼성전자 모델이 개인에게 최적화된 환경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차량용 '디지털 콕핏 2019'를 시연하고 있다. / 사진 = 삼성전자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19가 개막한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삼성전자 부스에서 삼성전자 모델이 개인에게 최적화된 환경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차량용 '디지털 콕핏 2019'를 시연하고 있다. / 사진 = 삼성전자

 

탑승자 휴대폰을 좌석에 배치된 차량용 삼성 덱스에 연결하면 휴대폰에 있는 문서나 메일을 차 안에서 더욱 편리하게 볼 수 있다.

구현할 수 있는 서비스로, ‘디지털 콕핏 2019’에 적용된 덱스는 도킹 형태다. 디지털 콕핏에 적용된 UX는 기존의 갤럭시 스마트폰의 UX를 활용해 사용자들이 익숙하게 조작할 수 있게 했다.

차량 앞좌석 양 옆에 2개의 디스플레이를 설치해 카메라로 촬영한 차량 측후방부 영상을 보여 주는 ‘미러 대체 비전 시스템(Mirror Replacement Vision System, MRVS)’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기존 기계식 미러 기능에 이동물체 탐지와 경보기능 등을 추가로 제공해 운전자 편의성과 안전성을 강화했다.

◇ 집 안에서 차량 주유상태‧온도 제어

‘디지털 콕핏 2019’는 차량용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구동되며, 삼성전자 통합 IoT 서비스인 ‘스마트싱스’와 진화된 ‘뉴 빅스비’가 적용돼 집 안과 차량과의 연결성을 강화했다.

집 안에는 ‘뉴 빅스비’가 적용된 AI 스피커 ‘갤럭시 홈’을 통해 차량의 주유 상태나 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고(Home-to-Car), 차 안에는 스마트싱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집 안의 가전 제품과 조명 등 IoT 기기를 쉽게 제어(Car-to-Home)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운전자는 선호하는 ‘서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음악, 날씨정보, 비행기 출‧도착 상황 등에 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전방 교통장애물 인지 알고리즘을 적용한 차량용 전방 주시 카메라와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운전자가 주행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서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차량용 전방 주시 카메라’는 주행 중에 주변 차량, 보행자, 차선, 교통표지판 등을 인식하며 전방물체 충돌위험이 있을 경우나 의도치 않은 차선이탈상황에서 운전자에게 사전 경고신호를 준다.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운전자가 졸음 운전을 하거나 문자 메시지를 보내는 등 부주의한 행동을 할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보내준다.

◇ 셀룰러 기반 ‘차량 통신기술’로 도로 정보 실시간 제공

삼성전자 셀룰러 기반‘차량 통신 기술’은 무선통신 기술이 적용된 TCU(Telematics Control Unit)를 이용해 데이터를 주고 받아 커넥티트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준다. 차량과 인프라, 차량과 보행자, 차량과 네트워크간 통신을 모두 포괄한다.

이 기술을 통해 운전자에게 운전 중에 필요한 주변 차량과 도로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려줄 뿐 아니라, 비가시적 영역의 정보도 제공해 운전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다.

셀룰러 기반‘차량 통신기술’은 향후 5G 네트워크 기술과 결합해 보다 많은 정보를 짧은 시간에 차량에 제공함으로써 기존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커넥티드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전망이다.

박종환 삼성전자 전장사업팀장 부사장은“이번 CES에서 선보인 ‘디지털 콕핏’은 지난해 대비 보다 나은 연결성과 개인별 최적화된 환경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더불어“셀룰러 기반 차량 통신기술 등을 통해 보다 혁신적이고 안전한 커넥티드 카 시대를 이끌어 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