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은 하락세 유지
전국 전월세전환율이 2월 제자리걸음했다. 주택상품 관련 금리 하락과 비아파트 수요 증가 때문으로 풀이된다.
8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종합 전월세 전환율(2월 신고 기준)은 6.9%로 확인됐다. 직전달과 동일한 수준이다.
서울은 1월과 동일한 6.0%를 보였다. 지난해 5월 6.6%로 고점을 찍은 뒤 하락세다. 더불어 ▲아파트(4.6%) ▲연립다세대(5.8%) ▲다독주택(7.3%)에서 볼 수 있듯이 모든 주택유형에서 전국 대비 낮은 비율을 기록했다. 경기는 6.7%, 인천은 7.2%로 나타났다.
서울은 권역별로 ▲강북권역(6.4%) ▲감남권역(5.7%) ▲도심권(6.4%) ▲동북권(6.3%) ▲서북권 (6.5%) ▲서남권(6.3%) ▲동남권(5.1%)의 전환율을 보였다. 구별로 ▲송파(4.0%) ▲양천(4.4%) ▲은평(5.1%) ▲종로(5.2%) 순으로 아파트 전환율이 낮았다.
지방은 지난달과 같이 2월에도 8.1%를 보였다. 전환율은 주택유형별로 ▲아파트(5.8%) ▲연립다세대(10.2%) ▲단독주택(10%)로 확인할 수 있다. 경북지역이 10.2%로 직전달에 이어 가장 높다. 반면 세종(5.6%)은 가장 낮았다.
세부적으로 보면 ▲부산(7.4%) ▲대구(7.9%) ▲광주(7.6%) ▲대전(7.6%) ▲울산(8.0%) ▲강원(8.4%)으로 전환율을 보였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계절적 영향과 전세 상승폭 둔화로 전월세 전환율이 보합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전월세전환율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one.co.kr)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가격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