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빙과 다이어트 확산 분위기에 편승 고성장 이어져

지난해 한 쿠킹클래스 행사에서 공개된 훈제닭 샐러드 / 사진=뉴스1

간장과 마요네즈 등 전통 소스시장 성장이 지체된 가운데 샐러드드레싱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웰빙과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 등 식문화 변동도 호재로 작용하며 향후 성장이 지속되리라는 전망이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한국의 전체 소스 시장은 2012년까지 3~4%의 성장세를 보이다가 2013년부터 1%로 둔화됐다. 최근 10년 동안 MSG(-6.3%)와 마요네즈(-1.8%) 시장은 역신장됐다.

 

반면 파스타소스와 굴소스, 샐러드드레싱 시장은 크게 성장했다. 파스타소스는 10년 간 성장률이 20.7%에 이른다. 굴소스가 14.6%로 뒤를 이었다. 샐러드드레싱도 8.7%를 기록해 성장대열에 합류했다.

 

최근 성장세가 가장 두드러진 품목은 샐러드드레싱이다. 오일, 과일, 곡류/견과류, 마요네즈 등의 카테고리로 세분화돼 있는 300억 원 규모의 드레싱 시장은 최근 3년 동안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했다. 이 중 오일 베이스 드레싱은 매년 6% 이상 시장이 커지고 있다.

 

실제 기업들 움직임도 발 빠르다. CJ제일제당은 전문 셰프의 레시피를 적용한 드레싱류 신제품 2이탈리안 드레싱유자샐러드소스를 지난 28일 출시했다.

 

이탈리안 드레싱은 바질, 로즈마리, 파슬리, 타임, 레몬그라스5가지 허브를 넣어 정통 유러피안 스타일을 그대로 살린 제품이다. 유자샐러드소스는 100% 국내산 유자 믹스를 사용해 본연의 맛을 살린 샐러드 소스다.

 

고영주 CJ제일제당 드레싱 담당 브랜드매니저는 이탈리안 드레싱과 유자샐러드소스는 성장하는 드레싱 시장을 주도하는 제품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CJ제일제당은 이번 신제품 출시를 통해 오일 베이스 4, 과일 베이스 3, 마요네즈 베이스 3, 견과/곡류 베이스 2종 등 총12종의 드레싱 라인업을 갖추게 됐다. 샐러드 드레싱 산업이 커지면서 CJ제일제당의 공격적 투자가 효과를 보는 모양새다. CJ제일제당의 시장점유율은 지난 10년 간 21%나 상승해 현재 근소한 차이로 업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향후 전망도 밝다. 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 23일 발표한 최근 열대과일 수급 동향 및 시사점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열대과일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국내 재배면적과 농가수도 각각 83.7%, 51.7%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열대과일 수입량이 전체수입과일의 67.7%를 차지할 정도로 빠른 증가추세를 보였다. 특히 자몽과 망고 수입량이 급증했다. 향후 샐러드드레싱 산업 발달에 긍정요인이 되리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건강 식단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앞으로 과일을 변주한 이와 같은 샐러드 드레싱이 계속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