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주택경기 불투명 따른 조기 추진 탓…건설업계 자구책 부심
지난해 건설경기 확장이 올해도 지속되기는 어렵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설업체들이 다각화 전략 등 자구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건설경기 선행 지표인 국내 건설수주 실적은 지난해 157조 9800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전 최대치인 2007년 최고치인 127.9조원을 30조원 이상 상회하는 실적이다.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41.7%, 2분기 54.7%, 3분기 49%, 4분기 42.3%로, 연간으로는 47% 성장했다. 2014년 동기 대비 큰 상승폭을 보였다.
이는 민간수주 증가세에서 비롯된 면이 크다. 지난해 69.7% 성장해(2014년 대비) 113.2조원을 기록했다. 민간 주택 수주가 74.5% 증가해 전체 증가액을 이끌었다.
결국 국내 건설시장의 급격한 성장은 주택부문에 큰폭으로 의존하고 있는 한계점을 보인다. 또한 향후 주택시장이 성장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전망이 대두되면서 건설경기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 밖에 없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추후 주택경기가 불확실해질 수 있다는 인식하에 건설기업들이 지난해 주택사업을 조기에 추진한 경향이 크다”며 “건설시장의 급속한 성장에 착시효과가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책적으로도 건설업 성장에 악재가 존재한다. 금융당국이 지난해 10월부터 시행에 들어간 여신심사 선진화가 대표적이다.
주택담보대출 강화를 골자로 하기에 주택시장은 물론 건설업계를 위축시킬 수 있다. 한국주택협회 관계자는 “정부가 비밀리에 시중은행장을 모아 집단대출까지 압박하고 있다”며 “주택담보대출과 함께 건설시장에 압박이 가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올 1분기 시행될 회계기준 강화도 건설업계 실적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바뀐 기준으로 미청구공사 금액(발주처로부터 받지 못한 금액)을 공시하면 회계상 대손충당금을 확보해야 하는데 이는 건설업계의 부채로 잡히면서 실적부진으로 나타난다.
A건설사 관계자는 “공시 등 기업 외부평가 요소가 악화되면서 향후 투자자금 확보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이홍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업계는 짧은 호황 국면에 대비해 각종 리스크에 대비해야 한다”며 “올 한 해 동안 사업 포트폴리오 다양화 전략을 수립하고 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