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대 주주로대리인 보내 아시아나항공 현황 공개 지적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왼쪽)과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오른쪽). / 사진=금호아시아나그룹, 금호석유화학

금호석유화학이 아시아나항공 주주총회에 대리인을 보내 경영 상태를 공개적으로 지적했다.


아시아나항공은 28일 서울시 강서구 아시아나항공 본사에서 정기주주총회를 열었다. 이날 금호석유화학의 위임을 받은 변호사 3명이 아시아나항공 주주총회에 참석했다. 금호석유화학은 아시아나항공 지분 12.61%(2459만여주)를 보유한 2대 주주다.

이 자리에서 금호석유화학 대리인은 "지난해 재무제표를 보니 최선을 다하고자 노력한 점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매우 안타깝고 실망스럽다"며 "올해에도 이러한 상황이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가 있어 당부 말씀을 드리고자 한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매출이 5조2000억원인데 영업이익은 93억여원으로 현저히 미미한 수준이고 자본 잠식은 계속 악화돼 언제 해소될 수 있을지 걱정된다"며 "감사보고서를 보면 지급수수료 1500억원이 어디에 나가는지 관계회사 간 거래도 왜 증가했는지 알 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형제지간인 박삼구, 박찬구 회장은 2009년 금호아시아나그룹 워크아웃 당시 경영권 분쟁 후 등을 돌린 상황이다. 금호가 회사들은 형 박삼구 회장이 운영하는 금호아시아나그룹과 동생 박찬구 회장이 운영하는 금호석유화학그룹으로 지난해 말 대법원 판결에 따라 완전히 쪼개졌다.

 

금호석화 대리인은 경영책임을 이유로 서재환 금호아시아나그룹 전략경영실 사장의 아시아나항공 사내이사 재선임에 반대 의사를 밝혔다. 이어 금호석화 측은 반대 이유를 설명하려 했으나 앞서 경영상황에 대해 '8분간' 발언했다는 이유로 마이크를 넘겨받지 못했다. 서 사장 재선임안은 찬반 거수를 통해 통과됐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말 2년간 구조조정 일환으로 지점 통폐합과 희망퇴직·무급휴직 등 경영정상화 방안을 마련해 이행 중이다. 일반직 47명이 희망퇴직했고 임원차량 150여대 반납, 광고비 축소 등이 이어졌다.


아시아나항공은 개별 기준으로 지난해 당기순손실 1519억여원을 기록했다. 부채비율은 2014년 715.4%에서 2015년 991.5%까지 늘었다. 5년 연속 자본잠식 상태이며 자본잠식률이 2014년 18.5%에서 2015년 35%까지 늘었다.


금호석유화학 관계자는 "아시아나항공 재무 악화가 결국엔 항공 안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깊이 우려한다"며 "이 때문에 주총에 참석해 적극적으로 주주로서의 권리를 행사하기로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