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에너지 트레이딩 전문가 과정 개설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 트레이딩 전문가 과정 개설을 시작으로 에너지 트레이딩 인력(트레이더) 양성에 나설 것이라고 28일 밝혔다.
에너지 트레이딩 전문가 과정은 해외자원개발협회에서 운영한다. 교육은 1차(3월 21일~25일), 2차(10월 10일~14일) 등 연 2회로 진행된다.
에너지 트레이더는 에너지 대한 매수∙매도, 차익거래 실현, 리스크 관리 등을 목적으로 현물, 선물 등 다양한 거래에 참여하는 전문 인력이다.
이번 과정은 에너지분야 민간기업, 공기업, 종합상사 등 유관 분야 재직자들의 트레이딩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됐다. 전∙현직 트레이더 등 다양한 현장 전문가들의 강의로 구성됐다.
그간 각 기업별 수요에 의해 개별적으로 진행되던 트레이딩 교육을 체계화하고 에너지-금융-물류 등 업종간 인적 교류의 장을 열게 됐다.
지난주 시행된 전문가 과정에 참여한 수강생들은 각 분야 전문가들에게 생생한 해외 사례를 전해들을 수 있어 만족했다는 평가를 내렸다.
산업부는 이번에 개설된 에너지 트레이딩 전문가 과정 외에 고급 트레이더 양성을 위한 석사과정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석사과정은 트레이더를 지망하는 경영∙경제, 무역, 화학공학 등 관련학부 졸업생들에게 에너지-금융간 융∙복합 교육을 제공한다.
트레이딩 인력 양성은 동북아 오일허브 추진 대책의 핵심 과제다. 현재 저장시설 건설∙운영 등 초기 단계가 진행 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경쟁력 있는 하드웨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문 트레이딩 인력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싱가포르 등 선진 오일허브 사례에 따르면 전문 트레이더 양상을 위해 대학-현장실무-재교육 과정을 거쳐 적어도 10년의 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부 관계자는 “트레이딩 인력 양상 사업을 시작으로 싱가포르 등 기존 오일허브에 비해 취약한 국내 트레이딩 인력 양성과 성장을 위한 지원사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