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 시범사업 공모, 기술 활용·보급 계획
산업 확산 유형은 2016년 신설됐다. 이 유형 사업에 참여하는 기관은 산업 생태계 속 공급 기업이나 수요 기업과 연계한 산업 내 핵심 과정과 관련된 사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같은 분야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전략 모델을 개발한다.
미래부는 올해부터 산업 확산 유형 사업으로 빅데이터 수요를 창출하려 한다. 특히 금융, 제조, 유통·물류, 의료·건강, 통신·미디어, 안전 등 주요 업종에 지원한다.
선도 시범 사업에는 총 4개 과제당 평균 2~3억원이, 산업 확산 유형에는 2개 과제별로 10억원이 정부예산으로 투입된다. 선정 대상은 빅데이터 기술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이다. 이들은 업종별로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사업 주제를 정해 공모에 참여할 수 있다.
빅데이터 활용 스마트서비스 시범사업은 2013년부터 출발했다. 이 사업을 통해 서울시 심야버스 노선정책, 상권분석, 제조공정 효율화 등 산업 활성화가 이뤄졌다. 주류인플루엔자(AI) 사전예측 같은 안전관리 성과도 나타났다.
2015년에는 조선·플랜트 분야에서 선박 유지보수운영 서비스(MRO) 사업모델도 개발됐다.
2016년 미래부는 지능정보를 바탕으로 한 신기술을 조기에 확산하고 산업 분야별 대형 수요를 창출하려 한다.
장석영 미래부 인터넷융합정책관은 “이번 빅데이터 사업을 통해 ICT(정보통신기술) 분야 기술혁신을 가속화해서 융합 기술과 신산업을 육성하고 새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업 공모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K-ICT 빅데이터 센터(www.kbig.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