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

신학기가 시작된 지난 4일 오후 경기도 안양시의 학원가에서 한 학생이 학원으로 향하고 있다. / 사진=뉴스1

월 소득 100만원 미만 가구의 주거비가 교육비를 추월했다. 교육비 지출이 주거비보다 적어진 것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3년 이후 처음이다.

 

24일 통계청의 소득구간별 가구당 가계수지에 따르면 지난해 월 소득 100만원 미만 가구의 실제주거비는 월평균 32710원으로 교육비 23489원을 추월했다.

 

2003년 월 소득 100만원 미만 가구의 실제주거비와 교육비는 각각 34899원과 41236원이었다. 2006년엔 교육비가 실제주거비의 1.7배에 달하기도 했다.

 

하지만 2014년 교육비는 실제주거비의 1.1배로 좁혀졌다. 이 기간 동안 실제주거비는 크게 변하지 않았지만 교육비는 큰 폭으로 줄었다.

 

월 소득 100만원 미만 가구의 월평균 실제주거비는 200334899원을 시작으로 매해 증감을 반복했다. 교육비는 2013년 전년에 비해 0.7% 상승을 제외하면 2010년 이후 매년 큰 폭으로 줄었다. 지난해 교육비는 전년 대비 32.0% 감소했다.

 

특히 사교육에 해당하는 학원 및 보습교육 분야 지출이 급격히 줄었다. 정규교육 지출은 14132원으로 전년에 비해 3.2% 증가했지만 학원 및 보습교육에 쓰는 돈은 매달 8061원으로 전년대비 58.3% 급감했다.

 

저소득층 가구의 교육비가 주거비보다도 낮아진 것은 최근 전체 가구의 교육비 지출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와 같은 맥락이다.

 

정부의 유치원비 지원, 무상보육 등 교육 복지제도가 확대되고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가 맞물리며 가계 소비지출 중 교육비 비중은 2009 13.5%에서 지난해 11.1%로 줄었다.

 

하지만 불안한 경기와 노후 때문에 교육에 돈을 쓰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월 소득 100만원 미만 가구의 소비지출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90만원대를 유지하다가 지난해 7.4% 감소하며 80만원대로 떨어졌다. 교육비 지출은 12개 소비지출 항목 가운데 가장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사교육은 소득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한다" "저소득층이 교육을 덜 받게 되면 교육이 계층 상승 사다리로 작용하지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