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석유·화학 제품은 수출 증가"
미국이 예상대로 6월 이후 기준금리를 올리면 자동차와 자동차용 엔진·부품 분야가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반면 반도체·전자표시장치나 석유제품은 수출 증가가 예상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3일 공개한 '미국 기준금리인상에 따른 한국 제조업의 수출영향 전망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1991년부터 2015년까지 27개 산업의 총 수출량 분석을 토대로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국내 수출제품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산업별 수출 명암이 엇갈릴 것으로 전망됐다. 수출량이 가장 크게 감소하는 3대 산업은 통신·방송장비(-1.11%), 자동차용 엔진·부분품(-1.06%), 영상·음향기기(-0.71%)로 나타났다.
지난해 수출액을 기준으로 미국 기준금리가 1% 포인트 오르면 1차 년도에 자동차용 엔진·부분품 수출액은 2억4500만달러 줄어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다.
이어 자동차 2억800만달러, 기타 제조업 제품 4300만달러, 섬유사·직물 2100만달러, 특수 목적용 기계·장비 900만달러, 가죽제품 900만달러, 영상·음향기기 400만달러 순이었다.
반면 수출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는 3대 산업은 기초 화학제품(0.41%), 제1차 금속제품(0.39%), 석유제품(0.36%)이었다.
지난해 수출액 기준으로 미국 기준금리가 1% 포인트 인상될 경우 1차년도에 반도체·전자표시장치 산업이 1억2700만달러 증가해 가장 큰 증가세를 보였다. 석유제품 1억1900만달러, 기초 화학제품 8700만달러, 합성수지·합성고무 6000만달러, 펄프·종이제품 1700만달러 증가가 예상됐다.
차경수 부산대 교수는 "금리인상에 따른 소득효과는 충격발생 직후 1년 차에 주로 나타나는 반면 가격효과는 시차를 두고 중장기적으로 나타나 소득효과를 압도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차 교수는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수출에 미치는 효과가 산업별로 달라 국내 총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확정적이진 않지만 자동차와 자동차용 엔진·부분품 수출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선제적 대응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들 산업들이 전후방 효과가 큰 산업인 점을 고려할 때 수출 감소는 국내 산업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자유무역협정(FTA),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등 자유무역을 통해 해외시장을 더욱 확대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