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드론개발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 조성 시급"
드론이 점차 우리 생활속으로 들어오고 있다. 정부도 지난해부터 드론산업의 본격 육성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드론산업 발전을 위해선 기술수준, 안전문제 등 아직 해결해야할 과제가 많다고 지적한다.
드론은 20세기 초 군사용으로 처음 개발됐다. 최근에는 재난 안전, 물류 배송, 부동산, 뉴스-미디어, 영화산업 등으로 드론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세계 드론 시장은 2014년 53억 달러(약 6조4000억원)에서 2023년 128억 달러로 증가(연평균 11%)할 전망이다. 같은 기간 한국 시장은 9000만 달러에서 9억1000만 달러로 연평균 22%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무인비행기시스템국제연맹(AUSVI)은 드론이 2015년부터 2017년까지 미국에서 7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136억달러에 이르는 경제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2025년에는 10만개의 일자리와 820억달러의 경제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도 드론산업 본격 육성
정부도 이러한 전 세계적인 드론 성장세에 맞춰 국내 드론산업 육성에 나섰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2월 ▲강원 영월 하송리 ▲대구 달성 구지면 ▲부산 해운대 중동 ▲전남 고흥 고소리 ▲전북 전주 완산구 등 5개 지역(548㎢) 고도 300∼450m까지를 드론 시범사업 전용공역으로 지정했다.
국토부는 또 드론 시범사업 대표 사업자로 대한항공과 CJ대한통운, 현대로지스틱스 등 15곳을 선정했다. 이들 대표 사업자가 준비한 드론 47개 기종은 현재 5개 전용공역에서 시험비행을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정부는 올해 1월 드론의 8대 산업 상용화를 목표로 한 로드맵을 발표했다. 드론 상용화가 추진될 8대 산업은 ▲물품수송 ▲산림보호 ▲해안감시 ▲국토조사 ▲시설물안전진단 ▲통신망활용 ▲촬영·레저 ▲농업지원 등이다.
최근에는 저고도 무인비행장치 운영체계도 마련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사생활 침해 및 범죄 활용 등 우려되는 드론 역기능을 방지하고 안전한 비행을 유도할 수 있는 운영기준을 확립키로 했다.
이밖에도 정부는 무인항공기 교통관리 시스템(UTM)을 5년 이내에 마련할 계획이다. 현재 UTM은 미항공우주국(NASA)에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중에 있다. 정부도 현재 자동차 도로교통 시스템처럼 일종의 드론 교통 시스템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안전문제, 기술력 등 아직 넘어야 할 산 많아
문제는 이러한 정부의 거창한 계획과 달리 국내 드론 기술력이 이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것이다. 지난 10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회관에서 열린 ‘저고도 무인기 감시·관리 기술 개발 및 시스템 시범 운용’에 대한 공청회에서는 드론 기술력과 안전성이 자주 언급됐다.
항공안전기술원 관계자는 “시범사업을 통해 드론을 테스트해본 결과, 드론이 생각만큼 안전한 것은 아니었다”며 “순수 국내 기술력으로 만들어진 제품도 일부 있었지만 대부분은 외국부품을 이용한 조립품 정도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정부 관계자도 “개인적으론 내가 사는 아파트 위에 드론이 날아다니는 광경을 보고 싶지는 않다”며 드론에 대한 불신을 나타냈다.
실제로 초창기 개발된 드론의 기술력은 장난감 수준에 불과한것으로 조사됐다. 정부가 생각하는 것처럼 산불을 감시하고 택배를 운송하기 위해서는 더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국내 드론개발업체인 엑스드론의 진정회 대표는 “한국은 산악지형이 많고 삼면이 바다로 둘러쌓여 있어 풍속이 강한편”이라며 “국내에서 시범테스트를 통과한 드론은 해외 어디를 가도 견딜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기술테스트를 위해 관련 정부부처에 협조를 요청하면 대부분 거절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현재 정부의 시범사업도 중요하지만 일단은 기업들이 드론개발을 제대로 할 수 있게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정권 국토부 사무관은 “앞으로 드론 전담 조직인 첨단항공과를 신설할 계획”이라며 “드론 추락 최소화 기술 등 각종 경진대회를 통해 드론 기술력을 최대한 끌어 올릴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