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업은 초기단계...대표 R&D프로젝트 수립
미래창조과학부는 한국 지능정보기술(인공지능) 발전을 위해 플래그쉽 R&D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정보지능사회 플랜을 수립한다고 9일 밝혔다. 이번 발표는 같은 날 이세돌 9단과 구글 인공지능 시스템 알파고가 첫번째 바둑 대국을 벌이는 데 따른 것이다.
정부는 인공지능 기술을 전략사업으로 육성할 계획을 세웠다. 이는 SW(소프트웨어) 중심사회 2.0을 실현하기 위한 조치의 일환이다.
우선 미래부는 인공지능 기술을 선점하기 위해 가능성 있는 분야를 발굴하는 플래그쉽 R&D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그리고 민간 주도로 ‘지능정보 연구소’도 생긴다. 이곳은 한국 지능정보 연구에 있어 구심점이 될 수 있다.
미래부는 앞으로 인공지능이 불러올 사회, 경제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지능정보사회 플랜’도 수립한다.
인공지능이란 기존에 인간만이 할 수 있었던 인지, 학습, 추론 등 고차원적 정보처리를 정보통신기술(ICT)로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로 공장 자동화 로봇이나 무인자동차 등 ICT기기가 인간 개입 없이 스스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인공지능이 발달하면 생산방식이나 시장구조, 생활 양식 등에서 우리 경제와 사회에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국이 보유한 인공지능 관련 기술은 선진국과 격차를 보이고 있다. IBM과 구글, 애플, 바이두 같은 세계적 기업은 이미 인공지능 기술에 경쟁적으로 투자를 확대하면서 성과를 내고 있다.
이중 구글은 자율주행차를 일반도로에서 시험운행 하고 있다. 딥마인드 알파고는 인간과 바둑 대결을 앞뒀다.
한국에선 공공분야를 중심으로 인공지능 연구가 진행됐다. 기업은 아직 본격적인 투자를 시작하지 않고 있다. 실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는 2015년 ICT 기술수준조사에서 우리나라 인공지능 기술이 선진국 대비 2.6년 기술격차가 존재한다고 밝혔다.
미래부는 “지능정보기술 분야는 아직 시장 전반을 지배하는 사업자가 없는 초기 단계로 우리에게도 기회는 열려 있는 상황”이라며 “우리 기술력을 단기간에 세계 최로 수준으로 향상시키고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역량을 총 결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