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역대 최저...선진국 중엔 여전히 높아

 

수원 못골 시장 / 사진=뉴스1

지난해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10번째로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역대 최저치로 떨어지며 디플레이션 우려를 낳았다. 하지만 글로벌 관점에서는 상대적으로 변동 폭이 적었다는 분석이다.

 

7일 OECD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2015년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7%로 조사됐다. 이는 OECD 34개 회원 국 중 10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OECD 평균(0.6%)보다는 0.1%포인트 높은 수치다.

 

1위는 7.7% 오른 터키였다. 2위는 칠레로 소비자물가 상승률 4.3%를 기록했다. 이어 멕시코(2.7%), 노르웨이(2.2%), 아이슬란드(1.6%) 순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0.8%를 기록해 9위를 차지했다.

 

지난 2012년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2%에 달했지만 OECD 순위는 21위에 그쳤다. 물가상승률이 1.3%로 떨어진 2013년에는 오히려 20위로 한 계단 올랐다. 수치 변동이 없었던 2014년(1.3%)에는 13위로 껑충 뛰어올랐다.

 

이듬해인 2015년에는 물가상승률이 0.7%로 반토막 나며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196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한국은행의 중기 물가안정목표(2.5~3.5%) 하단에도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하지만 OECD 회원국 사이에서는 상위권인 10위에 올랐다.

 

이처럼 수년째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눈에 띄게 둔화했지만 OECD 내 순위가 상승한 것은 전 세계적인 성장세 둔화와 저물가 현상 때문이다. OECD 평균 물가상승률은 2012년 2.3%에서 0.6%로 3년 새 1.7%포인트나 떨어졌다. 한국(-1.5%)보다 감소 폭이 컸다.

 

이 기간 미국(2.1→0.1%), 영국(2.8→0%), 프랑스(2.0→0%) 등 주요 선진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대로 떨어졌다. 유럽연합(EU)에 속한 28개국의 평균 물가상승률도 2.6%에서 0%로 추락했다. OECD를 통틀어 헝가리(-5.8%)의 하락 폭이 가장 컸다.

 

2012년과 비교해 지난해 물가상승률이 오른 국가는 OECD에서 일본(0→0.8%)과 칠레(3.0→4.3%), 노르웨이(0.7→2.2%) 3곳 뿐이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