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다양성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 대두
최근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공개강좌 프로그램 무크(MOOC) 열풍이 불고 있다. 정부도 이에 질세라 지난해 10월 한국형 무크인 K-MOOC를 출범했다. K-MOOC는 출범 한달만에 수강신청자 4만명을 넘어서는 등 순조로운 출발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강의 다양화 등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고 지적한다.
MOOC는 Massive Open Online Course의 약자로, 누구나(Massive), 무료로(Open), 온라인(Online)을 통해 우수한 대학의 강의(Course)를 수강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개강좌 프로그램을 칭한다.
2000년대 초반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탄생한 MOOC는 지식 공유를 모토로 급격히 성장했다. MOOC 수강생은 다양한 대학에서 원하는 강좌를 동영상을 통해 듣는 것뿐만 아니라 교수에게 질문하고, 시험을 볼 수도 있다. 수강생들은 세계 석학들의 수업을 무료 또는 저렴하게 제공받고 커뮤니티를 통해 토론을 진행하고 과제를 수행한다.
현재 대표적인 MOOC로는 코세라(Coursera), 에드엑스(edX), 유다시티(Udacity)가 꼽힌다. 코세라는 스탠포드대학 컴퓨터과학과 교수인 다프네 콜러와 엔드류 응이 2012년 설립했다. 2015년 8월 기준으로 누적 수강생은 1400만명을 넘었고, 강의 수도 1000개가 넘어섰다.
전 세계적으로 MOOC 열풍이 불자, 정부도 지난해 한국형 MOOC인 K-MOOC를 출범시켰다. 총 48개 대학이 참여희망을 밝혔으며, 강좌 수는 106개 였다.
이 가운데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경희대, 부산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포스텍, KAIST, 한양대 등 10개 대학의 27개 강좌가 최종 선정됐다.
교육부는 지난해 10월 수강생 모집을 시작했다. K-MOOC는 출범 한달만에 누적 수강생이 4만명을 넘어서는 등 순조로운 출발을 보이고 있다. 교육부는 올해 100개, 2017년에는 200개, 2018년에는 500개 강좌로 확산해나간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강의의 다양성이다. 전문가들은 2000여개 넘는 외국 MOOC에 비해 K-MOOC의 강의가 너무 적다고 지적한다. 이제 시작하는 단계라는 점을 감안해야 하지만 하루빨리 강의수를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사이버대학 관계자들도 K-MOOC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다. 교육부가 이번에 K-MOOC 선정대학을 4년제 일반대학만으로 한정했기 때문이다. 온라인 교육 원조격이라 할 수 있는 사이버대학은 현재 10만명이 넘는 수강생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지원 예산은 2014년 11억원에서 지난해 6억원으로 절반가량 삭감됐다. 반면 K-MOOC 예산으로는 22억이 책정됐다.
사이버대학 관계자들은 기존 사이버대학과 MOOC가 큰 틀에서는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온라인 콘텐츠를 개발한다는 점에서 비슷하다고 주장한다. 정부가 사이버대의 온라인교육 노하우를 활용해야 한다는 게 이들의 논지다.
또 다른 문제점은 강의가 서울 명문대 위주로 편향돼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이번에 선정된 10개 학교 가운데 7개 대학이 서울권 명문대학이었다. 지방대는 KAIST, 포스텍같은 특수대학을 제외하면 부산대뿐이었다.
일각에서는 K-MOOC 강의가 서울 명문대 강의 위주로 편성된 것에 불만을 나타내기도 했다.
정부의 온라인 교육을 기획하는 업계 전문가는 “MOOC의 기본 취지는 다양한 강좌를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는 것”이라며 “MOOC가 국내로 들어오면서 그 취지가 변질되고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앞으로 대학평가를 진행하는 가운데 K-MOOC가 하나의 평가기준으로 활용될지도 모른다”고 걱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