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대북제재 중국 참여 필수…수출 의존도 90%"

한국경제연구원은 대북제재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선 북한의 대중국 지하자원 수출을 막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 사진=뉴스1

대북제재 실효성을 높이려면 북한의 대중국 지하자원 수출을 차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2일 공개한 북한의 지하자원 수출실태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대중 지하자원 수출이 감소하고 있다. 대중 지하자원 수출액은 2013184000만 달러로 최대치를 기록한 뒤 2014년에 들어 152000만 달러로 감소했다.

 

북한의 대중 수출 품목 중 지하자원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363.2%에서 201453.7%로 줄었다.

 

보고서에서 최수영 한경연 초빙연구위원은 "2013년 기준으로 북한의 대중 수출액은 291000만 달러였는데 그 중 지하자원 품목의 수출액은 184000만 달러로 전체 대중 수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북한의 총수출 감소현상은 대중 자원수출액 감소가 크게 작용한 결과"라고 주장했다.

 

최근 20153분기까지도 주력 수출품목인 광물자원의 대중 수출 감소세가 계속되고 있다.

 

최 연구위원은 "북한이 2010년에 들어 플러스 성장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은 풍부한 지하자원과 양질의 노동력을 활용해 중국과의 무역을 확대했기 때문"이라며 "북한의 대중 지하자원 수출 감소가 지속되면 외화확보에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2013년 북한의 대중 수출액은 291000만 달러로 총 수출액 321000만 달러의 90.5%에 달했다. 2014년엔 그 비중이 89.8%였다.

 

최 연구위원은 20105·24 조치 이후 북한이 남북교역 중단에 따른 경화 수입 감소분을 만회하기 위해 대중국 수출 확대에 집중하며 북한이 경제운용에 필요한 외화를 확보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의 자원 수요 증가와 원자재 국제가격 상승이 북한의 대중 지하자원 수출 확대를 견인했다""최근 중국 경제성장률이 하락하며 자원 수요가 감소하고 환경규제가 강화되는 등 수출 환경이 개선될 여지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최 연구위원은 다만 북한의 총 수출에서 지하자원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50% 이상을 넘어서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광물자원 수출은 북한의 주된 외화 획득원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국제사회의 대북경제제재는 북한의 주된 외화 획득 통로인 대중국 지하자원 수출을 차단할 때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며 중국의 대북제제 참여가 시급하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