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기업 진출 이전에 정부의 광폭 외교정책 선행돼야
지난달 이란 경제제재 해제와 함께 시장개척에 의욕을 보인 건설사들이 막막해하고 있다. 정부 지원이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부족한데다가 발주 정보도 제한적이라는 이유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건설업계의 이란 시장 진출 지원은 세 곳에서 맡고 있다. 현지 정보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테헤란 무역관이 제공한다. 금융지원 정책은 수출입은행과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과 두 곳에서 맡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해당 기관 정책 추진 상황을 보고받고 건설사 애로사항을 청취한다.
건설사들은 통상적으로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발주물량 공개입찰을 확인하게 된다. 공개입찰 이외의 물량은 테헤란 무역관을 비롯한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해야 한다.
테헤란에 진출해있는 한국 무역관은 현지인을 포함해 총 8명이다. 인력은 제한적인데 정보기술(IT), 자동차, 철강, 건설 등 교역분야는 다양하다. 각 담당관은 프로젝트별로 업무를 맡을 뿐 전문 분야는 없다. 건설 발주 정보력에서 뒤쳐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반면 이란 시장에 발빠른 움직임을 보여 온 중국은 이미 수주 실적을 거두고 있다. 이란이 UN안보리 상임이사국과 지난해 4월 핵개발 중단에 대한 원칙적 합의에 도달한 이후 중국은 꾸준히 움직여 마크란 지역(남부 해안) 100㎿ 용량의 원전 2기 건설을 수주했다. 또 테헤란-마슈하드 구간 고속철도 건설에 대한 기본 협의도 마쳤다.
일본 역시 마찬가지다. 일본 치요다화공건설은 최근 이란 기업과 손잡고 이란 남부 반다르압바스에 있는 정유공장 시설의 개보수 공사를 수주했다. 이에 비해 우리 정부와 기업은 의욕만 있을 뿐 아직 구체화된 게 없다.
업계는 이란이 지난 2014년 건설산업에서 2.8% 성장세를 보였고 향후 5년 간 평균 3.4%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 상업용 빌딩, 호텔, 테마파크 등 민간 건설 프로젝트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 내년까지 발주될 노후시설 공사 물량은 약 1000억달러(121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정보력이 중요할 수밖에 없다.
코트라에 따르면 각종 화학플랜트, 댐, 담수설비 등 대형건설 프로젝트가 발주돼 있다. 또 향후 경제특구 개발 등 초대형 프로젝트 발주도 뒤이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이란 시장에 진출했던 대림산업, GS건설, 현대건설 이외에 SK건설, 한화건설 등도 시장 진출을 검토중이다.
이란 진출을 검토중인 한 건설사 관계자는 “이란 시장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라며 “지사설립도 중요하지만 공사 발주처 정보 확보, 수주 작업을 지원해 줄 체계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