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경제동향 2월호 발표

 

자료=기재부

정부는 최근 경제상황에 대해 “우리 경제는 소비 등 내수가 양호한 흐름을 지속하고 생산과 투자도 기저 효과 등으로 다소 개선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하지만 “수출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 금융시장 불안 및 실물경기 둔화, 미국 금리인상, 유가 하락, 북한 리스크 등 대외 위험요인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12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이같이 평가했다. 지난해 12월 경기 지표는 다소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취업자 증가 폭은 49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28만5000명)보다 58% 늘었다. 내수가 개선되고 11월에 기상 악화로 부진했던 농림어업과 건설업 고용 시장이 회복한 덕분이다.

 

지난해 12월중 광공업 생산은 수출 부진에도 그간 생산 회복을 제약했던 유화업계 정기보수 마무리 등으로 전월 대비 (-2.1→1.3%)증가로 돌아섰다. 설비투자 지표도 크게 개선됐다. 12월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투자가 큰 폭으로 늘며 3개월 만에 증가세(6.1%)로 전환했다. 건설투자도 토목공사 중심으로 회복돼 -0.7%에서 7.1%로 상승 전환했다.

 

지난해 12월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0.1% 감소했지만 감소 폭이 전달(-1.0%)보다 줄었다. 수출 부진은 더 악화됐다. 1월 수출(잠정치)은 전년 동월 대비 18.5% 감소한 367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6년 5개월 만의 가장 큰 낙폭이다. 기재부는 조업일수 감소, 저유가 지속, 선박수출 감소 등의 효과로 12월 대비 감소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올해 1월중 소비자물가는 담뱃값 인상효과 소멸, 도시가스 요금 추가인하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상승폭이 (1.3→0.8%)축소됐다. 1월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보다 0.04%가 전세가격은 0.14%가 각각 올라 상승폭이 축소됐다. 12월 수치는 각각 0.15%와 0.26%였다.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2월에 100.9로 전월대비 0.1포인트 하락했다. 향후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103.8로 0.5포인트 떨어졌다.

 

기재부 관계자는 “내수 중심 회복세가 지속·확산되고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도록 1분기에 재정·정책금융 부문에서 21조원 이상의 조기집행을 확대하고 승용차 개소세 인하 연장 등 선제적 경기관리를 강화하겠다”며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금융·외환시장 영향 및 국내외 경기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즉각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