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연속 격차 벌어져, 계층 이동 사라지나
통계청은 2015년 고소득층 월간 교육비 지출액이 저소득층보다 7.8배 높았다고 9일 밝혔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3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2015년 3분기 소득 5분위 가구 월평균 교육비 지출액은 62만7700원, 1분위 가구 월평균 교육비는 8만 200원이었다.
통계청은 소득이 낮은 층부터 높은 층까지 가계 수에 따라 1분위부터 5분위로 나눴다. 분위 수가 커질수록 소득이 높다.
소득이 높은 가정일수록 소득에서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소비 지출에서 교육비 비중은 5분위에서 평균 15.4%였다. 반면 1분위 평균은 6.2%였다.
계층 간 교육비 격차는 해마다 심화하고 있었다. 2011년 소득 5분위 가구와 1분위 가구 간 교육비 차이는 6.1배였다. 그 후 2012년 6.5배, 2013년 6.6배로 차이가 벌어졌다. 그리고 2014년에는 7.9배로 8배에 가까워졌다.
다른 분야 격차와 비교했을 때도 계층 간 교육비 격차가 가장 컸다. 교육은 저소득층이 중산층, 혹은 고소득층으로 이동하는 사다리로 인식된다. 때문에 한국사회에서 계층 간 이동 가능성이 점차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교육비 다음으로 격차가 큰 항목은 오락·문화비 지출액이었다. 1분위와 5분위 간 오락·문화비 지출액 차이는 5배였다. 지난 한 해 동안 5분위는 문화생활에 월평균 29만 6800원, 1분위는 5만 9600원을 썼다.
교통비는 4.5배, 의류·신발은 4.4배, 음식·숙박도 4.1배 차이가 나 계층별 차이가 컸다.
반면 필수 지출 항목인 식료품·비주류음료와 주류·담배, 주거·수도·광열 지출은 1.7배 차이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