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LTE·기가인터넷·IPTV 가입자↑, IT솔루션 매출도 늘어

황창규 KT 회장이 2015년 9월 기자간담회에서 KT 신사업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 사진=KT

 

 

 

KT 2015년 영업이익이 1조원을 돌파하면서 흑자 전환했다. 이는 LTE, IPTV(인터넷 프로토콜 TV)와 기가인터넷 등 신규 서비스 가입자가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IT솔루션과 금융 서비스 같은 비 본원 사업에서도 성과가 나타났다.

 

전체 매출 22조 원 중 가장 비중이 높은 무선 서비스 매출은 2014년보다 0.7%늘었다. LTE가입자가 늘고 접속 데이터양이 증가하면서 접속료 감소분과 가입비 폐지로 인한 수익 감소 영향을 상쇄했다.

 

LTE가입자는 20141분기부터 꾸준히 늘어 전체 무선 가입자에서 비중을 높여갔다. 20141분기 8633000명으로 52.4%였다가 그해 3분기부터 1000만명을 넘겼다. 그리고 4분기엔 전체 가입자 62.3%1078만명으로 나타났다. 20154분기 LTE가입자는 12832000명으로 전체 무선 가입자의 71.1%이었다.

 

덕분에 4분기 가입자 당 매출(ARPU)36491원으로 20144분기대비 0.6% 증가했다. 2015년 전체로 보면 2014년 대비 2.9% 성장했다.

 

유선서비스는 유선전화 가입자와 통화량 감소로 부진했다. 그러나 기가인터넷 가입자 증가로 4분기 초고속 인터넷 매출은 1.2% 오른 4400억원으로 나타났다. 기가인터넷은 기존 초고속인터넷 최고 속도 100 메가비피에스(Mbps)보다 최대 10배 빠른 1기가비피에스(Gbps) 속도를 낸다. 이 서비스는 KT201410월 국내 최초로 출시했다. 1KT 기가인터넷 가입자는 110만명을 돌파한 상태다.

 

미디어 매출도 IPTV가입자 증가로 성장했다. 2015IPTV가입자는 2014년보다 69만명 늘어 전체 4342000명을 기록했다. IPTV가입자는 20141분기 2891000명에서 꾸준히 증가해 그 다음 분기에 300만명을 넘겼다. 그리고 20153분기 4136000명으로 400만명을 돌파했다.

 

그밖에 콘텐츠 자회사와 금융 자회사 실적도 양호했다. KTH는 정보통신기술(ICT) 솔루션 신규사업을 수주했고 T커머스 플랫폼 매출도 성장시켰다. 그 덕에 콘텐츠 사업 매출은 2014년보다 20.9% 올라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카드 사용량 증가로 BC카드 매출도 늘었다. 2015년 전체 금융 수익은 전년 대비 5.9% 올랐고 4분기 수익은 3분기보다 17.7% 성장했다.

 

반면 2014년 구조조정 이후 2015년 인건비는 전년에 비해 15.7% 감소했다.

 

KT는 기가인터넷을 출시하고 IT솔루션 등 신사업에 투자하는 등 사업을 다각화했다. 황창규 KT 회장은 지난해 9월 기자간담회에서 서비스 개선과 구조개혁으로 사업 구조가 많이 개선됐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