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상품교역조건지수 11.2% 상승

한국은행 / 사진=뉴스1 

지난해 우리나라 상품 교역조건이 크게 개선됐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5년 12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에 따르면 지난해 평균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99.97로 2014년 89.84보다 11.2% 상승했다.

 

     무역지수는 수출입금액 변동을 가격요인과 물량요인으로 나누어 파악하기 위해 작성하는데 수출입금액지수와 수출입물량지수, 수출입물가지수가 있다.

 

        

지난해 12월 수입물량지수는 125.36으로 2014년 동월 대비 2.0% 하락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2011년 89.15에서 2012년 87.03까지 떨어졌다가 2013년 89.56, 2014년 89.94로 올라갔다.

 

지난해 12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100.83으로 2014년 12월보다 8.0% 높다.

 수입가격이 18.3% 떨어져 수출가격 하락폭보다 컸기 때문이다. 한은은 국제유가 하락의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지난해 평균 134.71로 전년(118.18)보다 14.0%나 올랐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전체 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지수화한 것이다.


지난해 수출물량지수는 134.75로 전년보다 2.5%,수입물량지수는 119.59로 지난해 대비 3.3% 올랐다. 수출입 물량은 2014년 12월보다 감소했다. 수출물량지수는 141.57로 1.3% 낮아져 지난해 5월이후 7개월 만에 떨어졌다. 수입물량지수는 125.36으로 2014년 동월 대비 2.0% 하락했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