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민·형사상 책임 물을 것"

 

3개월여 만에 재개된 현대자동차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이 수렁에 빠졌다. 임금협상 일자와 기본급 인상안을 두고 노사 간 줄다리기가 계속되는 가운데, 노조가 민주노총 총파업에 참여하며 갈등골은 더 깊어졌다.

현대차 노조는 16일 민주노총 총파업에 참여했다. 전날 노조는 상급단체인 민주노총의 총파업 지침에 따라, 1·2조 근무자가 각각 2시간씩 총 4시간 동안 파업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1조 근무자 1만5000여 명은 오후 1시30분부터, 2조 1만3000여 명은 오후 3시30분부터 파업에 들어간다. 2조 근무자는 잔업(17일 오전 0시 20분부터 70분간)도 거부할 예정이다.

현대차는 예고된 파업으로, 연말 차량 인도에는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 말했다. 다만 차량생산이 총 5시간10분간 중단될 시 평시 생산량보다 2215대 가량이 줄어들 것으로 추산했다. 예상 매출 손실액은 457억원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파업으로 현대차 노사 임단협의 연내 타결이 사실상 ‘물 건너 갔다’는 말이 나온다. 15일 임단협이 3달 만에 재개된 상황에서 또 한 번 생산중단은 교섭 분위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달 새로 부임한 박유기 신임노조위원장은 사측 비난에 개의치 않고 파업을 단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현대차는 민·형사상 고발 조치 및 무노동 무임금원칙 등 강경책을 꺼내들었다. 현대차 관계자는 "대화를 말하면서 뒤에서는 사측과 상관없는 불법 정치파업을 강행한다면 신뢰있는 교섭을 해나갈 수 없다"며 "파업으로 인해 교섭이 틀어진다면 책임은 노조에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박유기 위원장을 필두로 한 현대차 노조는 민주노총 총파업을 근거로 사측이 법적인 문제를 묻는다면, 연내 임단협 타결은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현대차 노조 관계자는 “이제 막 새 집행부가 들어선 상황이다. 총파업의 경우 현대차 뿐 아니라 우리나라 노동계가 노동개악 저지를 위해 나선 것”이라며 “사측은 임단협을 틀어뜨릴 이유만 찾는 모양새다. 연내 임단협 의지는 노조가 이미 보여줬다. 사측이 전향적 태도를 보일 때”라고 밝혔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단협에서 ▲임금 15만9900원(기본급 대비 7.84%) 인상 ▲정년 65세까지 연장 ▲당기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포함한 완전고용보장 합의서 체결 ▲국내공장 신·증설, 해외공장 생산량 노사합의 ▲구조조정이 불가피할 경우 불요불급한 자산 매각 등을 요구해왔다.
 

박성의 기자 sincerity@sisabiz.com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