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년 IMF 당시와는 달라...외환보유고 14배 이상에 위기대응력도 높아져"
미국 금리인상이 예상되는 가운데 대한상공회의소가 금리인상 도미노에서 한국은 빠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른바 ‘데킬라효과’불가론이다.
대한상의는 13일 '미국 금리인상의 파급효과와 대응전략 연구' 보고서를 통해 "신흥 11개국을 대상으로 위기상황을 가정해 외환대응력과 부도위험을 살펴본 결과 한국은 안전국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른바 '데킬라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데킬라 효과는 지난 1994년 미국 금리인상으로 멕시코가 금융위기에 빠졌고 이후 아르헨티나, 태국, 필리핀을 거쳐 1997년 한국까지 번진 상황을 멕시코 전통술 데킬라에 취한 것 같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대한상의는 "외환건전성이 좋아졌고 국가부도위험도 안정적인 모습"이라며 그 당시와 같은 상황이 반복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한상의는 "한국은 국제통화기금(IMF)과 그린스펀 전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이 권고하는 위기상황 대응력 평가에서 신흥 11개국 중 3위 안전국으로 평가됐다"고 전했다.
이어 "미국 금리인상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한국 내 단기자금(3개월간 수입대금 + 1년미만 단기외채)이 2700억 달러 정도로 추정된다"면서도 "이는 외환보유고(3747억 달러)에 3개월 간 경상수지 흑자(289억 달러)를 더한 외환대응력(4036억달러)으로 방어가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대한상의는 또 "국가부도위험 가늠자인 신용부도스와프(CDS) 가산금리(프리미엄)는 12월 0.54%로 11개국 중 가장 안정적"이라고 강조했다.
CDS 가산금리는 채권을 발행한 국가가 부도가 났을 때 손실을 보상해주는 파생상품 가산금리를 말한다. 금리가 높을수록 부도위험이 높다.
대한상의는 "2013년 미 연준이 양적완화 축소가능성 발언을 했을때도 외국인 투자자들은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자금을 빼내 해당국 주가와 통화가치가 폭락했다. 그러나 당시 한국은 원화가치와 주가가 오히려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전했다.
이어 미국 금리 인상발 위기가능성에 대해서도 "한국 외환보유고는 당시에 비해 14배 이상 증가했고 위기 대응력도 크게 높아졌다"고 일축했다.
대한상의는 다만 "데킬라 효과가 미치는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 말레이시아, 아르헨티나 등 주요 위험국에 대한 수출부진에 촉각을 곤두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대한상의는 "이들 신흥국의 경우 중국경제 둔화, 원자재가격 하락 등 악재까지 겹쳐 가장 좋지 않은 시나리오에 대해 대비해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 자문위원인 조성훈 연세대 교수는 "미국 금리인상은 단기적으로 외환시장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겠지만 이는 충분히 예상된 변화"라며 "오히려 금리인상으로 인한 불확실성 해소가 한국경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김소영 서울대 교수도 "미국 금리인상으로 인한 금융불안에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보면 한국이 선진국 반열에 들어섰는지를 평가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미국 금리인상은 7년 간 지속돼온 저금리 시대 패러다임을 바꾸는 사건"이라며 "기본적으로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나 신흥국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과 우리기업의 자금사정 악화 가능성에 대한 대응전략이 필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