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한국의 사회동향 2015 발표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자녀 세대인 ‘에코 세대(1979∼1992년생)’가 결혼의 필요성을 상대적으로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명 중 한 명만 결혼을 꼭 해야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10일 발간한 ‘한국의 사회동향 2015’에 따르면, 에코 세대의 절반 가량인 49.8%가 결혼에 대해 ‘반드시 해야 한다’거나 ‘해도 좋다’는 등 긍정적으로 답했다.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는 중립적 의견은 47.9%,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는 ‘하지 말아야 한다’는 부정적 의견은 2.3%였다.
베이비붐 세대는 결혼에 대해 ▲긍정 66.2% ▲중립 31.8% ▲부정 2.1%로 응답했다. 긍정의 경우 에코 세대보다 16.4%나 높았다.
동거에 대해서는 베이비붐 세대 65.6%가 반대했지만 에코 세대는 61.9%나 찬성했다. 가사 분담에 대해서도 베이비붐 세대의 59.4%는 부인 책임이라고 답했지만 에코 세대는 59.3%가 부부가 공평하게 부담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념 성향에선 에코 세대가 베이비붐 세대보다 진보 성향이 두 배 이상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붐 세대에서는 보수라는 답이 43.8%, 진보가 14.6%였지만 에코 세대에서는 진보가 29.5%였고 보수는 19.7%로 나타났다.
대한민국 국민으로 자부심을 느낀다는 대답은 베이비붐 세대(79.0%)가 에코 세대(66.9%)보다 높았다. 북한을 친구로 본다는 비율은 에코 세대가 10.0%로 베이비붐 세대(14.8%)보다 낮았다. 북한을 적으로 보는 비율은 베이비붐 세대 34.6%, 에코 세대 33.3%로 큰 차이가 없었다.
기관에 대한 신뢰는 최근 세대일수록 낮게 나타났다. 베이비붐 세대에서 중앙정부, 대기업을 신뢰한다는 대답이 36.8%, 41.6%에 달했으나 에코 세대에서는 각각 28.5%, 34.2%에 그쳤다.
한편 에코 세대는 베이비붐 세대에 비해 사생활 침해, 실업과 빈곤, 주택난 등에 대해 위험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에코 세대의 44.7%는 실업과 빈곤이 위험하다고 인식했고 주택난이 위험하다고 생각한 비중도 55.0%에 달했다. 반면 베이비붐 세대에서 그 비중은 각각 40.9%, 46.5%로 떨어졌다.
직업 선택과 관련해서는 에코 세대는 수입(34.4%), 안정성(27.0%), 적성·흥미(22.5%) 순으로 중요성을 두었다. 베이비붐 세대에선 수입이 중요하다는 응답이 41.3%나 됐다. 안정성(33.4%)을 중시하는 비중도 높았으나 적성·흥미(10.8%)를 중요하다고 생각한 응답은 적었다. 그만큼 먹고사는 것부터 해결해야 하는 세대라고 할 수 있다.
원태영 기자 won@sisa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