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일반기계 수출 증가 주도...철강·조선·반도체 어려움 예상

 

내년 세계경제의 부진 완화로 우리나라 수출·수입이 증가하며 내년 GDP 성장률이 3%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KIET)은 25일 발표한 '2016년 경제·산업 전망' 보고서를 통해 내년 세계경제가 선진국 중심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며 올해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미국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며 세계경제 회복세를 이끌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유로권과 일본은 통화정책의 확장기조가 이어지며 완만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중국의 경우 완만한 성장 둔화 추이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이 같은 세계경제 부진완화와 단가 하락세 진정으로 내년 우리나라의 수출은 올해보다 2.1% 증가한 5436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수입도 3.0% 증가한 4575억 달러로 증가하며 무역수지는 861억 달러로 올해 883억 달러에 비해 소폭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2.0% 내외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가계부채와 주거비 부담의 증가와 고령화 등이 제약요인으로 꼽았다. 건설투자(2.9%), 설비투자(4.2%) 등도 늘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수출부진 완화와 저유가, 저금리가 이어지며 내수가 완만한 증가를 이어가며 내년 GDP 성장률은 올해보다 3.0%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그러나 미국 금리인상 여부와 중국 경제의 성장둔화폭 확대 가능성, 지정학적 불안요소 등 대외요인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했다.

보고서는 가전과 일반기계 등이 내년 수출 증가세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가전은 브라질 올림픽 특수에 힘입어 올해보다 6.3%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일반기계도 친환경 기계류에 대한 수요 증가로 4.0% 수츨 증가를 예상했다. 또 선진국 경제 회복으로 자동차 수출도 2.4%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외에도 정보통신기기, 석유화학·정유 업종도 상황이 호전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철강·조선·반도체·디스플레이 등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됐다. 철강은 중국 성장세 둔화와 보호무역 확대로 수출이 3.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조선 -4.9%, 반도체 -0.8%, 디스플레이 -1.8%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됐다.  

저작권자 © 시사저널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